-
-
프로불편러 일기 - 세상에 무시해도 되는 불편함은 없다
위근우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1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2015년 무렵부터 인터넷에서 이른바 "프로불편러"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프로페셔널(Professional)"이라는 영어 단어와 "불편(不便)"이라는 한자 단어, 그리고 영어 접미사 "-er"을 조합한 말이다. 해석하자면 "매사에 불편해하는 사람"이라는 정도의 뜻이 될 것이다. 여기에는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 문제될 것이 없는 일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한다는 부정적 뉘앙스가 담겨 있다.
한국 사회의 여러 문화적, 사회적 현상에 대해 날카롭게 분석해 온 위근우의 <프로불편러 일기>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프로불편러"를 자인하는 저자는 "지금 이곳에서 프로불편러는 불합리함과 부당함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들에 대한 자기긍정의 표현이다"(4)라고 말한다. 고개를 갸웃거리게 되었다. 불편과 불합리(不合理), 부당(不當)은 각각 다른 개념이 아닌가? 불합리함에 관해서는 이 글에서 논하지 않겠지만, 불편함과 부당함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이 내 지론(持論)이다.
단적으로 말해서 불편함은 개인의 주관적 감정의 문제고, 부당함은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공유되어야 할 원칙의 문제다. 이른바 "프로불편러"의 문제는 불편함과 부당함의 혼동에서 비롯된 것 같다. 즉 오늘날의 한국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불편하다"고 말해야 할 때에 "부당하다"고 말하고, "부당하다"고 말해야 할 때에 "불편하다"고 말한다는 것이다.
이 책에 나온 사례로 말하면, 가수 아이유의 노래 <제제>가 소아성애(pedophilia)를 연상시킨다고 느끼는 것은 불편함의 문제다. "아이유 노래는 소아성애 같아서 불편해"라는 개인의 감상에 대해서 "맞아맞아, 나도 그렇게 느꼈어"라고 공감을 살 수도 있고, "나는 안 그렇던데"라는 반론에 직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주관적 불편함을 사회적 원칙의 보편적 정의에 의거한 부당함으로 포장하여 음원 폐기까지 요구했던 사건은 자신의 주관적 감정이 사회의 보편적 원칙으로서 통용되어야 한다는 유아(幼兒/唯我)적 발상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사회적 논의를 통해 고쳐져야 할 부당함이 단순히 개인의 불편함으로 축소되는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사회에서 차별이나 억압은 정의(正義)에 어긋나는 부당함의 문제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프로불편러"라는 말이 등장한 이후에는 불편함이라는 말로 토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 예로 나온 몇몇 연예인들의 예능에서의 폭언과 '막말(妄發)'은 불편할 일이 아니라, 부당하다고 시정을 요구해야 할 일이다.
물론 불편함과 부당함의 구분은 애매모호한 경우가 많다. 부당함의 기준에 대해서도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뭘 그렇게 예민하게 구냐'고 말하는 사람이 많을 수 있다. 사람들이 부당함을 호소하는 대신에 불편함이라는 개인의 감정 문제로 후퇴하는 이유는 부당함의 근거를 다른 사람들에게 납득시키는 작업이 그만큼 지난(至難)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편함과 부당함을 같은 개념으로 퉁쳐서는 안 된다. 개인이 불편하게 느낌으로써 끝날 문제와 논쟁을 통해 부당함이라는 기준을 확립시켜야 할 문제는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불편함이라는 감정은 중요하다. 때로는 그것이 부당함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인식하는 시발점(始發點)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단순히 '내가 불편하다'는 주관적 영역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불편함과 부당함을 구분하고,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불편함"이라는 장막 뒤에 숨을 것이 아니라 논리를 통해 그 문제의식을 관철시키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