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 - 동서분당의 프레임에서 리더십을 생각한다
이정철 지음 / 너머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몇 년 전 어느 인터넷 유머 사이트에서 "탕수육으로 본 붕당의 이해"라는 글이 올라와 화제가 되었다. 탕수육 부먹-찍먹 논쟁에 조선시대 당쟁을 비유한 이 글에는, 탕수육에 소스를 부어먹는 사람들은 동인, 탕수육을 소스에 찍어먹는 사람들은 서인, 동인 중에서도 붓기 전에 양해는 구하는 사람들이 남인, 양해 없이 붓는 사람들은 북인, 서인 중에서 살짝만 찍어먹는 사람들이 노론, 푹 찍어 먹는 사람들이 소론, 반은 찍어먹고 반만 붓는 것이 탕평책, 소스 없이 먹는 사람은 서학 등, 절묘한 비유가 있어 많은 패러디를 낳는 등 화제가 되었다.
조선시대 당쟁의 성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관점이 있겠지만, 당쟁이 정치적, 사상적 내용과 유리되어 그저 당쟁을 위한 당쟁으로 변질되었다는 것이 문제점이라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 당쟁의 최대 사건이라 할 수 있는 예송논쟁은 효종이 사망했을 때, 인조의 계비가 상복을 몇 년 입어야 하는가에 관한 논쟁이었다. 송시열을 비롯한 서인은 1년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했고, 남인은 3년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대인들이 보기에는 "그게 뭣이 중헌디!"라고 생각되기에, 오늘날 예송논쟁은 허례허식 때문에 일어난 소모적 논쟁의 대명사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당대에는 신권을 중시하는 서인(이후, 노론)과 왕권을 중시하는 남인의 입장이 반영된 정치사상적 내용을 담고 있는 심각한 논쟁이었다 할 수 있다.(여담이지만, 소설가 이인화가 <영원한 제국>을 출판한 이후, 남인과 정조에 우호적이고, 서인 노론을 악의 축으로 그리는 작품들이 대중매체에 자주 등장한다.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이나 <비밀의 문>, 영화 <역린>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유교국가였던 조선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정치인과 관료를 선발하는 과거시험은 사서오경을 비롯한 유교 고전들을 시험 문제로 제출했었고, 공자왈 맹자왈을 잘 외우는 것이 정치인의 조건이라고 할 수 있었다. 즉, 조선의 정치인들은 정치인인 동시에 학자였고, 지식인이었다. 조광조 이후의 성리학자들은 말 그대로 유교의 성인군자를 이상적인 정치인의 모델로 삼고 있었고, 정치를 통해 유교 이상사회를 실현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었다. 따라서 유교 경전을 어떻게 해석해서 상복을 얼마나 입을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정치사상 논쟁이 되었던 것이다.(반면에 서양에서는 정교분리와 정교통합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대립의 축이라 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성경에 나온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에게"라는 말이 나타내듯이 정교분리가 원칙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는 선조가 친정을 시작한 선조 8년부터 임진왜란 직전의 선조 23년까지를 다루고 있다. 문정왕후와 윤원형을 비롯한 소윤 세력이 몰락하면서, 외척과 훈구파를 대신하여 사림파가 집권하게 된 선조 시대. 우연한 계기로 사림은 노장 그룹인 서인과 신진 그룹인 동인으로 분열하게 된다. 이는 서인의 영수 심의겸의 집이 한양 서쪽에, 동인의 영수 김효원의 집이 한양 동쪽에 위치했던 데서 기인한 명명이다.(참고로 오늘날 통용되는 우파, 좌파는 프랑스혁명 직후, 보수파가 국회의장 오른쪽에, 혁명파가 국회의장 왼쪽에 앉았던 데서 유래했다.)
동인들은 인순왕후의 동생이었던 심의겸을 외척으로 보고 배척했다. 율곡 이이는 동인과 서인 사이에서 이들을 화합시키려고 노력했지만, 동인들에게 배척 당하고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게 된다. 이후 동인의 세력이 지나치게 커지자, 양자의 균형자 역할을 하던 선조는 정여립의 난 직후에 일어난 기축옥사를 통해 서인의 정철을 앞세워 동인(특히 강경파였던 북인)을 숙청한다.
저자는 조선 중기를 지배했던 당쟁의 기원을 분석하면서, 동서분당의 원인이 권력에 대한 욕망과 도덕적 확신에 있었다고 말한다. 동인은 심의겸과 서인을 사파로 규정하고, 자신들이 도덕적으로 옳다고 확신했다는 것이다. 정치의 세계에서 상대방을 악으로 규정하고 배척하게 될 때의 위험성은 오늘날의 정치현실을 생각할 때도 참조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