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받는 지배자 -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의 탄생
김종영 지음 / 돌베개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배받는 지배자>는 미국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한국인 엘리트들을 분석한 책이다. 한국의 학계가 국내 박사보다는 미국 박사를 더 우대하고 그러한 미국 박사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학계에 헤게모니가 구성된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이러한 미국 학계의 글로벌 헤게모니에 대해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보고 비판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고 있는 한국인 학생에게는 한국의 대학원보다 미국의 대학원이 더 매력적인 선택임이 분명하다.

세계 최상층을 차지하는 연구 중심 대학 집단, 영어의 글로벌 지배력, 세계 최고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 전 세계로부터 인재를 끌어모으는 견인력 등은 미국 대학의 글로벌 우위를 구조화시키는 요소들이다. 조직적 측면에서 미국 대학은 기능적으로 분화되어 있고, 우수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문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교수진을 끊임없이 검증하고, 우수한 연구진에게 차등적 보상을 제공하며, 다양한 방식을 사회적 인정을 부여한다. 문화적인 측면에서 미국 대학은 합리적이고 개방적이고 경쟁적이다. 한국 대학과 달리 학벌 인종주의가 미약하고 파벌이 약하며 업적주의를 철저하게 견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무엇보다 이들은 헤게모니를 쥔 입장에서 유학파/국내파의 위계와 같은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298, 299)

즉 학생 입장에서 기왕 대학원에 진학한다면, 재정이나 시설 면에서 지원이 탁월하고, 훨씬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분위기인 데다가, 소위 '대가'라 불리는 석학들이 많고, 세계적 학문의 트렌드를 선취할 수 있는 미국 명문대가 당연히 합리적인 선택일 것이다. 더구나 영어 논문, 영어 강의, SCI급 저널 등재를 중시하는 한국 대학은 미국 유학파를 선호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 학계의 미국 학계에 대한 종속성은 당연한 귀결인 측면이 있다.

문제는 이러한 미국 유학파 엘리트들이 폐쇄적인 한국 대학에서 헤게모니를 잡고 그 자체가 권력화되는 현상이다. 미국 유학이라는 경력 자체가 일종의 지위재로서 과대평가받고 있고, 그로 인해 뒤틀린 학문적 구조가 나타난다면 문제인 것이다. "국내 박사 출신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에서 외국 박사가 국내 박사보다 우수하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24.1퍼센트, 그렇지 않다는 부정적인 응답이 55.1퍼센트였다. 반면 같은 질문에 대해 외국 박사 출신 교수들은 긍정적인 답변이 66.7퍼센트로 나타나, 양 집단 간의 인식 차이가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52)는 연구 결과는 그러한 문제의 단면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미국 유학 경험과 정착 과정에 대한 인터뷰가 흥미로웠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미국에 유학하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의 대학이나 기업에 취득하더라도, 미국의 주류 사회에 진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영어의 벽이 가장 큰 난관이다. 결국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미국 원어민들에게 상대적으로 열등한 주변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에 만족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공계에 비해 인문사회 전공은 그러한 벽이 더 심각하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미국 유학의 현실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도움이 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