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밥상 - 밥상으로 본 조선왕조사
함규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최근 한국사회에서 음식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면서, 음식에 대한 문화적 고찰을 한 책들 또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왕의 밥상>은 제목 그대로 조선시대 왕들의 밥상을 탐구한 책이다.


 드라마 <대장금>을 통해 왕이 먹을 음식은 궁녀가 만드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최고 종6품에 이르는 숙수 십여 명이 요리를 전담하고 있었고 궁녀들은 어디까지나 보조역할이었다. 조선시대 말기 숙수들이 경제적 이유로 궁을 떠나면서 궁녀들이 요리를 만들게 되었고, 이들 궁녀들의 증언을 토대로 왕의 식사는 궁녀들이 만들었다는 통설이 된 것이다.

 실제로 조선시대 왕들의 음식 관련 기록들을 보면 그 왕들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 폭군으로 유명한 연산군은 전국 각지와 일본, 중국의 사슴, 거북, 귤, 전복 등을 진상하도록 요구했고, 선조는 임진왜란 이후 쌀 한 톨도 함부로 하지 못하게 했으며, 영조는 당쟁을 제어하기 위한 방편으로 반찬 가지수를 줄이는 감선을 적극적으로 행했으며, 고종은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서양식 요리와 커피를 즐겨 먹었다.

 조선 왕들의 식사를 이해함에 있어 중요한 것이 가뭄 등 국가에 변고가 있을 때, 반찬 가지수를 줄이는 감선이었다. 연산군은 "아무리 감선을 해봐도 가뭄은 또 다시 찾아온다. 폭군의 시대에도 풍년이 들고, 성군의 시대에도 흉년이 든다. 세상의 존경을 받는 사람이 질찍 죽기도 하고, 반대로 지탄을 받는 자가 오랫동안 영화를 누리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천도란 도리가 없다"(75,76)고 말하며 감선이 가진 의미를 부정하는 합리주의적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유교국가인 조선에서 왕 개인의 덕은 국가의 통치와 직결된 것으로 여겨져 대부분의 왕들은 감선을 형식적으로나마 잘 따랐다. 저자는 그 점에 주목하여 왕의 밥상을 "모든 면에서 '더불어 먹기'를 추구한 밥상"(313)이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조선시대 왕들의 식사는 그 자체로 윤리적, 정치적 의미를 담은 일종의 통치행위였다. 그 의미를 통해 조선시대 정치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