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를 위해서 - 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 개정증보판
박유하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광복 70주년 되는 해에 일본의 수상이 아베 신조라는 사실은 한일관계에 짙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한일합방 100주년 당시 민주당의 간 나오토 수상 시절과 비교해 보아도 그 위기 정도가 두드러진다. 10년 전 당시 한국에서 비판을 많이 받았던 고이즈미 정권과 비교해도 그렇다. 그간 한국 언론은 일본의 극우, 우경화를 과도할 정도로 우려해 왔는데, 그 예언이 이제야 실현된 셈이다.


 아무튼 당시엔 거론조차 되지 않던 '고노담화'가 긍정적으로 이야기되고 일본이 '평화헌법'이라는 것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이제는 한국 사회의 '상식'이 될 만큼은 한국 사회의 일본 이해도 깊어졌다. (중략)
 문제는 늘 그것이 부정되려는 움직임이 있을 때에나 겨우 그 존재가 알려진다는 점이다. 이뿐만 아니라 그것의 '존재' 자체에 대한 평가보다는 부정적인 움직임을 부각시키는 방식으로 '일본 비난'에만 사용된다는 점이다. (265)

 그동안 일본의 우경화를 소리높여 경계해 왔던 양치기소년들은 이제 아베 신조라는 진짜 극우를 대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과연 이러한 사태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대응에 잘못된 점은 없었을까? 저자의 지적처럼 "우리의 비판이 강경할수록 일본이 무시로 일관하거나 오히려 반발을 거세게 하는 악순환"(270)이 한국의 잘못된 비판도 일정 부분 책임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가?

 한국과 일본이라는 나라를 하나의 완결된 주체로 보고, 한국은 순전한 피해자이며, 일본은 순전한 가해자라는 도식에서만 한일관계사를 이해하려는 사람들에게 국가와 민족의 뒤에 있는 개인들의 시선을 발견하려는 이 책과 저자의 접근은 불편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한국이 일본의 역사왜곡교과서를 비판하지만 그 못지 않게 국가주의와 민족주의를 강조한 국정교과서를 발행해 왔고, 야스쿠니신사를 비판하면서 베트남전쟁이나 민간인 학살, 군부독재의 어둠을 은폐하는 현충원 참배를 당연시하며, 위안부 문제에 대해 비판하면서도 기지촌 근처의 매춘은 '애국'이라는 미명하에 용인해 왔다는 사실을 직면하게 되었을 때, 한국의 가해자성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일례로 위안부 문제의 사례를 보자. 50년 전의 한일협정은 "피해자에 대한 보상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일본으로부터 받은 보상금을 한국이 일괄적으로 맡아서 처리하기로 했다는 사실, 그러나 한국 정부가 '개인'에게 전달하는 일을 충분히 하지 않고 대신 경제 발전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써버렸"(75)기 때문에 위안부나 징용 피해자들이 일본정부로부터 보상을 받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 대신 일본 정부가 국민기금을 마련하여 "일본 내각총리대신으로서 다시, 이른바 종군위안부로서 엄청난 고통을 경험하고 몸과 마음에 치유되기 어려운 상처를 입으신 모든 분들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반성의 마음을 전합니다"(79)라는 수상의 편지와 함께 보상금을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전달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정대협은 공식 사죄와 법적 보상만을 주장하며 위안부 할머니들이 일본 국민기금으로부터 돈을 받는 것을 방해했다. 이러한 사실은 대다수의 한국 국민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았고, 일본에 대한 적개심만이 고조되고 있다.

 물론 일본정부와 우익들의 망동은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일본에 대한 오해와 편견, 무지가 한일 과거사문제의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지는 않은 것일까?

 공포는 경계심과 폭력을부른다. 공포를 야기하는 것이 상대에 대한 무지이기도 하다는 점에서는, 한일 양국에 지금 필요한 것은 서로의 아픔에 대해 좀 더 아는 일이다.(241)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냉전주의가 덧칠된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화해와 평화를 모색하기 위해 한일관계를 전혀 다른 시각에서 본 이 책은 다시 한 번 읽을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