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영국 작가 줄리언 반스의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는 2011년 맨부커상 수상작이다. 1부는 1인칭 화자 주인공 토니 웹스터의 40년 전 젊은 시절의 이야기다. 토니는 고등학교에서 천재적인 동급생 에이드리언과 만나고 존경에 가까운 감정을 느낀다. 대학에 들어간 토니는 같은 대학의 베로니카와 연애를 시작한다. 베로니카의 집에 초대 받아 가족들과 만나지만 베로니카의 아버지와 오빠가 마음에 들지 않았고 불쾌한 경험을 한다. 토니는 베로니카와 헤어지고, 자신이 소개시켜 줬던 에이드리언과 베로니카가 사귀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얼마 간의 시간이 흐른 후 에이드리언이 철학적 이유로 보이는 이해할 수 없는 자살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는다.

2부는 40년의 시간이 흐른 뒤, 노년이 된 토니에게 베로니카의 어머니가 500 파운드와 에이드리언의 일기장을 유산으로 남기고 죽었다는 소식이 날아든다. 늙은 토니는 에이드리언의 일기장을 넘겨받기 위해 늙은 베로니카에게 다시 연락을 취하게 되고 이후에 벌어지는 사건들이 소설의 주된 내용이다. 딱 한 번 만난 적이 있는 전여친의 어머니가 40년 만에 유산을 남겼다는 사실 자체가 뜬금없기 짝이 없는데, 베로니카의 어머니가 토니에게 오래 전 가족들이 했던 일에 대해 미안하다는 유언을 남겼다는 것 또한 이해하기 어려웠다. 여자친구의 집에 가서 가족들과 만나는 일이 어색하고 불편한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당연한 일 아닌가? 영화 <겟 아웃>에서처럼 여자친구 가족들이 최면을 걸어서 노예로 만들려 했던 것도 아닌데 말이다. 적어도 처음 읽었을 때는 베로니카의 가족들이 토니에게 그렇게 심한 일을 했는지 이해가 영 되지 않았다.

짐 브로드벤트와 샬롯 램플링이 노년의 토니와 베로니카를 연기한 영화판 <예감이 틀리지 않는다>를 보았다. 영상으로 보니 "아하, 그런 거였군" 싶은 대목이 몇 가지 있었다. 그리고 소설을 다시 한 번, 이번에는 고유명사에 주의하면서 읽어 보고 몇 가지 발견이 있었다. 노년의 회한, 왜곡된 기억, 이중반전 뒤에 숨겨진(혹은 나만 몰랐던) 또 하나의 주제, 계급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베로니카의 풀 네임은 '베로니카 메리 엘리자베스 포드'다. 평범한 이름이지만 미들 네임이 두 개다. 베로니카의 아버지는 공무원, 어머니는 전업주부. 이것도 평범하다면 평범하지만 1960년대 당시의 영국에서는 공무원이 상류층에 해당했을까?(왕족과 귀족이 아직 있는 영국의 계급사회는 한국의 계급사회와는 다르지만 일단은 무시하고 넘어가자.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은 원래 의미의 상류층, 귀족 계급은 아니다.)

그리고 치즐허스트. 토니가 찾아간 베로니카의 가족이 사는 집이 있는 곳이다. 처음에 읽었을 때는 그런 동네가 있는가보다 정도로 생각하고 넘어갔다. 영화를 보니 베로니카의 집은 말 그대로 저 푸른 초원 위의 그림 같은 집이었다. 베로니카의 집을 영상으로 보자 토니가 겪어야 했던 내적 갈등의 상당 부분이 이해되는 느낌이었다. 영화에서 베로니카 집안의 경제적 상황을 약간은 과장되게 연출했을 수도 있지만, 소설에서도 젊은 토니와 베로니카의 계급 차이는 강조되고 있다. 토니는 베로니카의 가족들이 자신의 사회적 계층과 지적 수준에 대해 심문하는 듯하다는 표현을 사용했고, 오만과 경멸을 느꼈다며 모욕과 굴욕으로 기억하고 있다. 물론 이는 토니 자신이 인정하듯이 열등감과 피해망상으로 왜곡된 기억일 수 있다.

흥미롭게도 에이드리언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대해서는 소설에서도 영화에서도 드러나지 않는다. 어렸을 때 어머니가 집을 나갔다는 언급이 지나가듯이 나올 뿐이다(이 소설에서 스쳐지나가듯 언급되는 많은 에피소드들과 마찬가지로 이 역시 중요한 복선 중 하나다). 대신에 장학금을 받아 케임브리지에 입학한 에이드리언의 천재적 두뇌는 지나치다 싶을 만큼 강조된다. 케임브리지는 베로니카의 오빠이자, 자신에게 경멸스러운 태도를 보였다고 토니가 느낀 잭이 다니는 대학이기도 하다. 에이드리언과 베로니카가 사귄다는 소식이 젊은 토니의 사회적, 경제적, 지적 열등감을 배증시켰음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참고로 영화에서는 토니의 지적 수준에 대해 소설에 나타난 것보다 더 한심하게 묘사하고 있다. 베로니카의 집에서 식사 시간에 나눈 대화에서 토니는 쪽팔린 상황에 처하게 된다)

40년 뒤의 토니와 베로니카는 상황이 역전된 것처럼 보인다. 토니는 폭스바겐 폴로를 타고 다닌다. 폭스바겐 폴로라는 고유명사로 토니가 중산층에 무사히 안착했음을 알 수 있다. 베로니카 역시 폭스바겐 폴로를 탄다. 베로니카의 오빠인 잭의 상황은 토니의 상상 속에서만 짐작되는데, 토니는 처음에는 골프 클럽에서 여유로운 노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상상했다가 나중에는 사회에서 여러 실패를 거듭하고 세계 이곳저곳을 전전하는 것으로 상상한다. 점차 밝혀지는 베로니카와 그 가족들의 비극적 이야기로 짐작컨대, 베로니카의 집안이 토니가 기억하는 치즐허스트 시절보다는 가세가 기울었음은 분명하다. 물론 베로니카의 어머니가 생판 모르는 사람에 가까운 토니에게 500파운드의 유산을 남긴 걸 보면 쫄딱 망한 것 같지는 않다. 고유명사의 벽은 여기에도 있다. 500파운드가 얼마 정도인지 처음에는 감을 못 잡았다. 검색해 보니 한국 돈으로 73만원, 토니의 말 대로 어중간한 금액이다.

영화에서는 사회적, 경제적 역전이 보다 과장되게 연출된다. 소설에서도 나오는 늙은 베로니카의 허름한 차림도 그렇지만, 베로니카가 사는 곳은 런던 시내에서 지하철을 두 번이나 갈아타야 하는 낙후된 곳으로 그려진다. 늙은 토니의 집과 비교해 보면 더욱 명확히 베로니카 집안의 몰락이 느껴진다.

역사는 승자의 거짓말인가, 패자의 자기기만인가? 이 소설의 주된 테마 중 하나다. 베로니카의 집안과 에이드리언의 배신에 상처를 입은 젊은 시절의 토니는 패자였다. 그래서 이 소설의 1부는 패자의 자기기만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2부에서 숨겨졌던 과거사들이 드러나면서 토니는 패자가 아님을, 오히려 승자에 가깝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 결말에서의 깨달음(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카타르시스)은 토니에게 노년의 회한과 함께 40년간 계속되었던 열등감, 피해망상, 자기기만으로부터의 해방을 선사했던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