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숨에 깨치는 경제상식 2 - 알짜배기 상식만화, 경제 지식편
석혜원 지음, 김연승 그림 / 웅진주니어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1. 왜 레알 마드리드는 베컴을 데려갔을까?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명한 베컴을 데려와서 내 세운 것이다. 이런 것을 스타 마케팅이라고 한다. 베컴이 그 옷을 입고 광고를 하고 10만원에 팔았더니 하루 만에 8천 장이 팔렸다고 한다. 

2. 용돈도 스톡옵션으로 하면 안 될까?
효과적인 능률급 제도인 스톡 옵션, 스톡옵션은 기업에서 임직원에게 자기 화사의 주식을 매입하여 나중에 마음대로 팔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임직운들에게 회사의 주식을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제도이다. 

작성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숨에 깨치는 경제상식 1 - 알짜배기 상식만화, 경제 생활편 단숨에 깨치는 1
김연승 그림, 석혜원 글 / 웅진주니어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지금부터는 경제 생활에서 경제 상식을 알아보겠습니다. 

1. 돈을 더 많이 만들어 나누어 주면 안 될까요?
돈도 흔해지면 값어치가 떨어진다. 시중에 돈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떨어져서 물건 겂이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가난한 사라들은 비싼 물가 때문에 살림살이가 더 어려워지게 된다. 

2. 아주 옛날엔 어떻게 물건 값을 치렀을까?
돈이라는 것이 없었던 시절에는 사람들은 물건이 있으면 자기 물건을 주고 맞바꾸었다. 그러다 물물교환을 할 때마다 서로의 조건을 딱딱 맞추기가 너무 어려웠다. 그래서 물품화페를 썼는데 이것이 조개 등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다가 금속 화폐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주조 화페를 사용하다가 현재 종이돈을 사용하고 있다.  

3.  우리 나라에 있는 돈을 모두 셀 수 있을까?
한국은행에서 2003년 말 발행한 돈의 액수가 약 24조 원이고 모든 금융 기관의 금고에 잇는 돈이 약 6조원이므로 2003년 말 우리 나라의 현금통화량은 약 18조 원이다. 

4. 부자들은 돈을 어떻게 쓸까?
알뜰한 부자가 되려면 내가 가지고 있는 돈의 한도 내에서 돈을 쓰고 꼭 써야 되는지 한 번더 생각하고 쓸데없는 곳에서 쓰지 않고 물건을 살 땐 가격과 품질을 비교해 보고 싸고 좋은 물건을 고른다. 또 이 모든 것 실천하지 않으면 소용없다는 걸을 명심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섬마을 소년, 김대중의 꿈과 도전 이야기
장명신 지음, 강일석 그림 / 국민출판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대중은 나라를 위해 노력한 사람이다.
그래서 이 분께서는 노벨평화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 분은 내가 태어났을 때에도 있다.
지금은 계시지 않지만 말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돌아가신 후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지금 계시지 않다.
김대중 대통령께서는 1년 전에 돌아가셨지만 난 지금이라도 편지를 쓰겠다. 

김대중 대통령께 

안녕하세요!!!!!
저 이지희예요.
얼마 전에는 이혜수였는데 이지희 바꾸었어요.
제가 태어나셨을 때에는 이미 대통령이 되어 있으셨죠?  
저는 지금 기억은 나지 않지만 대통령님에 대한 책을 읽으니 기억이나요.
저는 책을 읽으면서 대통령님을 정말 존경하고 있어요.
또 우리나라 최초로 2000년에 노벨 평화상도 봤고 대통령님은 정말 좋겠네요.
대통령님 전 이제 다른 할 일이 남아서......
그만 가보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요. 

2010년 5월 2일
이 지희 올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탄 국어 만화교과서 5-1 기탄 만화교과서
박기민 지음 / 기탄출판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시간을 나타내는 말의 종류중에서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내는 말중에 과거를 나타내는 말은 어제, 그제, 이틀 전, 10여 년 전, 1975년 무렵, 1990년경 등이고  현재를 나타내는 말은 오늘, 지금, 바로 지금, 현재 등이며 미래를 나타내는 말은 내일, 모레, 하루 뒤, 삼일 후, 한달이 흐른 뒤, 나중 등이고  특정 시간을 나타내는 말은 년(年), 월(月), 일(日), 시(時), 분(分), 무렵 때 즈음 등  이다. 

비유하여 표현하는 방법에서 보거나 들은 것, 느낀 것 등을 무엇에 비유할지 생각하고  비유한 두 대상의 공통점을 생각하며 '~같이', '~처럼', '~은(는) ~이다.' 와 같은 말을 넣어 표현한다.여기서 잠깐!! '~같이'와 '~처럼'은 직유법이라 하고, '~은(는) ~이다.'는 은유법이라고 한다. 예를 들자면 구슬처럼 투명한 물방울 개나리꽃은 봄의 신호등이다 라고 한다.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면 좋은 점은 본 것, 느낀 것을 생생하게 나타낼 수 있고  서로 다른 대상의 같은 점을 찾으며 여러 가지 상상을 할 수 있다.  
  

분석이란? 
분석의 뜻은 전체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분석의 방법은 분석을 하기 위해서 대상을 항목별로 나눌 수도 있고, 일을 순서에 따라 나눌 수도 있다. 
또 분석의 좋은 점은 전달하려고 하는 내용을 짜임새 있게 정리하여 글로 표현을 했습니다. 


분류란?  
일정한 기준을 정한 뒤, 여러 가지 대상을 묶어서 설명하는 방법이다. 
또 분류하는 방법은 분류를 잘 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기준을 정해야 한다.   

나는 이것을 쓰면서 제대로 알게 되었다. 특히 사실과 발견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 조선 왕조실록 1 - 태조.정종.태종.세종.문종
아침나라 편집부 엮음 / 아침나라(둥지)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태조는 원래 이름이 이성계이며 1335년 고려 말기에 이자춘과 최한기의 딸인 최씨 사이에서 둘째 알들로 태어났다.그는 어릴 때부터 체격이 건장하고 용맹스러웠다. 이는 조선을 세운 왕이다. 조선을 세우기 전 이성계는 고려의 신하였다. 그는 동북면 상만호가 되어 수시로 침범하는 홍견적을 물리치면선 이름을 날리기 시작하였다.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을 없애고는 조선으로 나라를 세웠다. 그리고 한양으로 도읍지를 바꾸고 나라를 다스리다가 죽었다. 

정종은 약 2년동안 나라를 다스렸지만 이는 여러가지 일을 하였다. 1399년에는 3월 노비들의 소송을 담당하는 노비변정도감을 폐지하고 1400년에는 1월 제 2차 왕자의 난과 함께 방원(태종)의 형인 방간으로 유배 보내고 2월에 세제로 삼고 6울에 노비변정도감을 다시 설치하였으며 11월에 정종이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태종은 원래 이름이 방원이다. 노비번졍도감을 폐지하였으며 신문고를 설치하였으면 무과를 법으로 정하고 호패를 발급하고 육조의 직체를 정비하도록 하였다.그리고 창덕궁으로 왕공하고 4월 경복궁의 경회루를 완공하였으며 태조실록 15권을 완성하였다. 구리고 조선으로 주민등록증인 호패를 처음으로 차게하고 승려가 되는 사람에게 세금을 받는 도첩제를 실시하고 처음으로 모든 간리들이 사모를 쓰고 태종이 충녕 대군에게 왕이를 물려주고 창덕궁 인정전을 완공한 다음 몇년 더 살다가 죽었다. 

세종은 우리가 잘 알고있는 훈민정음을 창제한 분이시다. 이분은 음악에도 관심이 많았고 어릴적부터 책을 좋아하셨다. 이 분은 집현전으로 설치하고 경복궁 광화문이 완공 되었고 민속 가요를 수집케 하엿고 정초 박연등이 천문 관측 기구인 혼천의를 완성하였고 물시계 신루를 사용하고 해시계 앙부일구를 설치하였으며 1품의 관리부터 일반백성까지의 혼례의식을 정하여꼬 호적으로 등제를 제정하고 장영실이 주관하여 경복궁 안에 흠경각으로 지고 용비어 천가 10권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54세로 돌아가셨다. 

또 문종을 2년 3개월 동안 나라를 다스렸는데 화차를 제작하고 화차를 추가 제조하여 군기감에 50량, 의주 등 양계 지방 각읍에 20량씩이 비치하였고 김종서 드잉 고려사절요 35권으로 편찬하였고 1452년 5월 문종이 승하하였다. 

나는 이렇게 5대왕들을 보았다. 이중에서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세종 대왕이다. 이분은 우리가 편하도록 해주셨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