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 새롭게 읽는 좋은 우리 고전 7
정약용 지음, 초록글 연구회 엮음, 이희탁 그림 / 청솔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 목민심서는 귀양살이를 할 때 쓴 정약용이 지은이이다.
목민심서의 목민의 뜻은 기르다는 뜻이고 심서는 목민관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할 일에 대해서 썼기 때문에 심서라고 한 것이다. 

목민관이 부임할 때
목민관이 된 도령은 선졍을 펼 것을 약속했으나 고관대작이 앞에 대기하고는 수백 냥을 달라고 하는 것이다.
정약용은 임금께 충의를 약속하고 수령의 의지를 다자자마자 관례라고 하며 명목없는 돈을 강요한다며 도령이 바르게 될 수 있도록 해주 었다. 
그러니까 정약용은 이 책에서는 수령인 도령의 스승이다.
이번에는 가족이 수령의 쥐위를 누리면 되지 않고 오직 책들을 가져가고 검소하게 김포로 왔다.
나흘 째 되는 날 그는 부임지에 도착했다. 

목민관이 가난 구제법
도령은 목민관으로 부임한 후 하루하루가 바빴다.
만일 예려해 풍년이 든 나머지 곡식이 흙과 같이 천하면 수령은 이때 돈이 많이 들더라고 곡식을 사들여 비축해 놓아야한다. 흉년에 대뷔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령이 목민관이었을 때는 흉년이 되었으나 아주 부자인 사람들에게 쌀을 조금만 나누어주고 돈을 받는 것이 어떨까? 라는 도령의 말에 그들은 순순히 도와주었다.
그래서 모두들 잘 먹으며 살 수 있었다. 

목민관이 물러날 때
도령은 저녁 늦게까지 공무를 수행하느라 숨 돌릴 틈도 없을 때 코피가 흘려 정약용이 김포의 수령을 교체한다는 임금의 친서를 보고 약용의 큰 탈식에 도력은 눈을 뜨고 약용이 들고 있던 종이 두루마리를 읽었다.
그래서 도령은 슬슬 준비를 김포를 떠났다. 

이렇게 해서 목민관이 해야할 세가지의 내용을 잘 알게 되었고 내가 그 때의 목민관이었으면 어떻게 했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납득이되여? 2011-01-19 1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나 책 안가져갔다

역사에관심있는아이 2011-01-20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술술 넘어가는 우리역사 3 - 조선 건국부터 을사사화까지
한우리역사독서연구회 지음 / 해와나무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조선의 500년 도읍지, 한양은 태조가 개경에서 도읍을 옮긴 곳이다. 정도전이 고려에서도 도읍을 한양으로 옮길까라는 말도 있었다면서 한양으로 하라고 하였다. 한양에 도착한 태조 이성계는 그 곳에 궁을 하나 세웠고 그 궁궐의 이름은 경복궁이다.  

세자 책봉, 왕자들의 갈등이다. 태조에게도 왕비가 많았기 때문에 왕자도 많았다. 그러나 정도전을 아끼는 태조는 정도전의 말만 믿고 방원을 자리에 앉히지 않고 방석을 세자 자리에 앉혔지만 방원이 형제들을 죽여서 까지 왕이 되었다. 

모든 악업은 내가 지고 가마, 세종 너는 태평 시대를 열어라의 제목에 이야기에서는 태종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왕권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않은, 방해가 되는 신하와 가족들을 귀양을 보내거나 죽였다. 

그 덕분에 세종은 태평 성대를 펼칠 수 있었다. 백성을 지극히 사랑하는 마음과 과학에 대한 관심 때문이 었다. 장영실과 세종의 만남은 왕건 강화와 함께 기술이 발달 되었다. 조선의 에디슨 장영실의 작품은 측우기, 간의, 수표 등 여러가지의 발명품이 나왔다.  

왕권 중심의 세상에 맞선 사육신에서는 단종이 너무 어리다는 이유만으로 단종을 왕위에서 내쫒아내고 수양대군이 자리에 앉아 나라를 다스렸다. 다신 단종 복위를 하려고 한 이 사육신들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등이 있다. 

조선 13대왕인 명종은 문성왕후의 아들로 명종이 왕일 때 12살이어서 문성왕후가 대림첨정을 하였다. 문성왕후는 여왕 처럼 대림청정을 하였고 결국 훈구파와 손을 잡고 사림파들을 없앴다. 이것을 을사사화이다. 

이렇게서 술술 넘어가는 우리 역사 3권 핵심을 잘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Three Little Pigs (아기돼지 삼형제) 영어로 읽는 명작동화 1
우리기획 구성 / 계림닷컴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I write letter form. 

Dear First pig and second pig 

Hi I am jihee Lee
I think your are hateful
Sorry 
But your lazy and many eat 
And your are third pig is imitate
Your diligence your family is a rich and happy 
please, please do diligence 

January 15 . 2011
jihee Lee 

Dear third pig 

Hi I am jihee Lee.
I think you very clever,
very diligence. 
Hey! The last - born pig
And your brick house is very nice 
Anyone I hope spend nice
Bye - Bye! 

January 15 . 2011
jihee Le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에관심있는아이 2011-01-15 1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못한 것 같아......ㅠㅠ

역사에관심있는아이 2011-01-15 1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쓸 말이 없어......
 
The Little Match Girl (성냥팔이 소녀) 영어로 읽는 명작동화 6
우리기획 구성 / 계림닷컴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I read a this book a reason is my piano teather give me this book. What is this book's content? Let's go!!!  

The Little Match Girl was selling match. But people are not selling match. Oh, poor girl. 
But the litte Match Girl is if i briong mothing to uncle, he must be mad at she. I worry the match girl  She think 'These matches can make me warm,' So she saw her dead grandmother in the flame. The Grandmother flew away up to the heaven holding the little match girl in the arms. So she is dead.
I impression comtent is
My dear come and go with me said the grandmother. The Grandmother flew away up to the heaven holding the little match girl in her arms. 

<New words>

1. had gone : 사라졌다. 

2. a falling star : 떨어지는 별, 별똥별 

3. in one's arms : 누구의 품에 

4. burnt :  (불에) 탄 

5. warmth : 온기 

6. sadly : 슬프게, 안타깝게 

<My think>
I think The Little Match Girl is very poor. 
So i hope in the sky The Little Match Girl is happ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맹꽁이 역사체험 3 - 고려 시대 태조-공양왕 편
박선희 지음, 윤승운 옮김 / 웅진주니어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오늘은 맹꽁이 역사체험이라는 책으로 고려에 대해서 알아보자 

고려의 건국
신라 말기에는 모든 것이 어지러워졌다.
정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부패한 귀족들은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급했기 때문에 농민들이 무거운 세금을 내야 했다.
세금을 낼 수 없게 된 농민들이 집을 보리고 떠돌게 되자 여러 호족이 이들을 이끌고 힘을 키웠다. 그 중에 견휜은 유랑하는 농민들을 이끌고 후백제를 세웠고, 신라의 버려진 왕자인 궁예는 후 고구려를 세웠다.
한반도는 다시 신라, 후백제, 후 고구려 이렇게 세 개의 나라로 나뉘어 다투게 되엇다.
왕건은 상인 집안의 부유한 호족이엇다. 왕건은 궁예의 밑에 들어가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궁예의 신임을 얻었다,
궁예는 부하들의 존경을 받으며 왕이 되었지만 나중에는 누구도 믿지 못하게 되었고 격국 자신의 아내와 두 아들까지 죽였다.
그러자 궁예의 신하였던 홍유, 복지겸, 배현경, 신숭겸 같은 이들은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왕으로 모셨으며 신라의 경순왕은 신라의 운이 다했다고 생각하여 경순왕은 고려에 항복하고 후 백제와 싸워 이겨서 진짜의 고려를 완성하였다. 

거란과의 전쟁
고려를 세운 왕건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고 밝혔지요.
그래서 고구려의 옛 땅인 북쪽을 정복하려고 노력했다. 
고려의 북쪽에는 거란족과 여진족이 나라를 세우고 중국의 송나라와 다투고 있었다.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은 고령가 송나라와 가까이 지내는 것을 핑계 삼아 고려에 쳐들어왔다. 고려가 송과 친하게 지낸다면 요가 송과 싸울 때 불리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려가 북쪽의 땅을 내놓고 요나라의 말을 듣는다면 물러가겠다고 했다. 고려의 조정은 요나라와 화친하자는 화찬론자와 싸워서 이겨야 한다는 주전론자들로 나뉘었다. 그러나 고려 조정은 요나라의 요구를 들어줄수 없어서 결굴 요나라는 고려를 세 번이나 쳐들어갔지만 고려가 미리 준비했고 뛰었던 장수들이 열심히 싸웠기 때문에 고려와의 싸움에서 지고 자기 나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해서 고려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