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법상의 슬기로운 생활수행
법상 지음 / 열림원 / 2024년 10월
평점 :
괴로움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괴로움은 부지불식간에 마음을 휘어잡고 부정적인 생각과 좋지 않은 행동을 유발시킨다. 그런데 괴로움을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일까? 무엇 때문에 우린 그토록 괴로워하는 것일까? 자신의 삶에 대한 고통, 타인과의 비교, 선택에 대한 실패.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 대부분 아(我)를 중심으로 자신에게서 멀어지는 상황이 벌어졌을 때 괴로움이 찾아온다. 괴로움은 후회와 연민, 비난, 시기, 질투, 심지어는 자기학대에 이르기까지 끝없는 정식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 우리의 삶이 매순간 이런 괴로움으로 가득하다면 얼마나 힘들고 삶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로 가득하게 될까? 그런데 그토록 오랜 기간 자신을 괴롭혔던 괴로운 감정들이 어느 순간 사라져버린다. 예고도 없이, 기약도 없이, 마치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기억마저 희미해진다. 괴로움이 한낱 구름과 같다면 왜 이토록 괴로움을 다루는데 서투르고 어리석은 것일까?
모든 괴로움은 생각의 분별과 집착으로부터 비롯된다. 내가 뭔가를 해야 한다는 생각, 타인보다 잘 살아야한다는 생각, 성공하고 부자가 되어야 행복하다는 생각, 우리가 하는 모든 생각은 삶의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집착에 몰두하면 생각의 도구로 전락한다. 즉, 자신의 생각이 원하는 세상만을 바라보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타인도 마찬가지다. 이제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생각의 자율성은 비교우위나 시대적 특성에 의해 우선순위를 갖게 되며 부족한 사람이나 뒤쳐진 이들은 상대적 고통에 시달리게 된다. 시대는 이런 상황을 이용해 개인들에 잠시나마 위안을 줄 수 있는 만족꺼리를 만들어나간다. 그 어떤 것도 채워지지 않기에 인간은 끊임없이 만족을 위한 욕구충족을 원하게 된다. 결국 괴로움과 고통의 원인이 반복되는 것이다. 불교의 연기(緣起)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선택이다.
모든 것엔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다. 하지만 연기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나는 인연(因緣)이다. 시절인연이든 시대인연이든 지금 나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들은 어떤 인연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며 이 또한 규정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있다가 사라진다.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한다. 인연은 참 오묘하다. 인연을 이해하는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특별한 시각을 갖게 된다. 부모와 인연, 자식 간의 인연 그리고 수많은 과거의 인연들이 나를 스치고 지나갔으며 현존하는 나를 구속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것은 인연일 뿐이다. 나도 인연이고 나의 생각, 몸도 인연이다. 인생이란 시간을 한 몸 빌려서 살다가 가는 것도 인연이다. 결국 괴로움도 인연이고 행복도 인연이다. 오는 데로 받고 가는 데로 미련을 두지 않는 것, 결국 우리가 세상을 분별하고 집착에 사로잡힐 때 고통이 시작되며 본래면목을 잃어간다는 것이다.
무위, 사전적 용어엔 자연 그대로 두어 인위를 구하지 않음으로 기록되어있다. 법상 스님은 불교의 무위를 하되 함이 없다로 말한다. 불교용어의 모호함이 아니라 불교가 전하고자하는 수행의 근간을 말하는 것이다. 무위는 생활수행의 핵심주제다. 법상스님은 하되 함이 없다라는 무위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자신의 삶에 충실할 때 더욱 의미가 커진다고 말한다. 모든 것들이 제자리에 있음을 자각하고 자신에 주어진 일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때 무위의 수행이 가능하다. 무위는 삶을 바라보는 기준이다. 분별이라는 관점, 생각에 대한 집착이 고통과 괴로움의 원인이라면 무위적 삶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다. 우리는 마음이 만들어놓은 환상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분별하는 마음이 어떻게 자신을 지배하고 있는지 들여다보라.
법상스님의 법명의 법상은 현실의 실상, 또는 체상을 가리키고 있다. 현상의 모습 그대로를 인식하고 일체의 고통으로부터 해탈을 추구할 때 인식의 대상으로 중요시 되는 현상을 법상이라 말한다. 법상스님은 스스로에 법상이란 법명을 부여하시며 무위와 불이분적 사고로부터의 분리, 자신의 본래면목을 찾는 해탈이 곧 부처라 말씀하신다. 자신의 생각은 자신이 이해하는 세상이며 자신이 추구하고자하는 세상이다. 실질적으로 자신의 생각이 곧 세상이다. 무아는 삶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선물한다. 지금까지 경험했던 모든 것들로부터의 탈출, 만약 그러한 경험이 진정 좋았다면 변하지 않을 것이지만, 애석하게도 인간은 욕망만 있는 존재는 아니다. 인간은 치유를 위한 특별한 경험을 원하지만 모든 것은 변화하며 오직 지금 이곳만이 진실이다. 우리가 진리라 여기는 것들이 얼마나 쉽게 허물어지고 사라지는가? 우린 그런 허망함속에 괴로움과 고통을 담고 있다. 중도하는 삶, 무위의 삶이 진실에 가까워지는 삶이다. 부처는 형상이 아니라 살아있는 현존이며 자신에게 있음을 깨닫게 된다. ‘지금 있는 그대로를 사랑할 때, 이 세상은 거울에 비친 당신 자신의 얼굴임을 알게 됩니다.’ 죽비와 같은 법상스님의 말씀이 귓가를 맴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