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유의 역습 - 당신이 몰랐던 우유에 관한 거짓말 그리고 선전
티에리 수카르 지음, 김성희 옮김 / 알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다른 식품들이 부정식품논쟁에 휘말리고 유전자 조작이라는 거친 태풍에 빠져들지라도 어떠한 의심도 받지 않은 채 승승장구하고 있는 식품이 있다. 아주 어렸을 적부터 먹어왔고 우리 아이들에겐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식품이자 엄마와도 같은 존재다. 학교에서 조차 지나칠 정도로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시간이나 장소를 불문하고 어떤 식품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에게 접근한다. 효능은 거의 절대적이며 모든 식품들의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아직까지 이보다 중요한 식품광고는 본적이 없다. 무엇이 이토록 찬란한 찬사를 받고 있는 것일까? 우유다.
우유에 대해 한번이라도 의심 해본 적이 있는가? 의심이라고? 너무도 당연해서 감히 라는 말밖엔 달리 할 말이 없다. 우유는 자타가 공인하는 특히 정부나 의사들이 강력하게 권장하는 현존하는 가장 최고의 식품이라 믿어져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유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왜 우린 우유에 대해 이토록 알지 못하고 있었는가에 대한 비판보다 오랫동안 간직해왔던 믿음에 대한 실망감이 마음을 무척 심란하게 한다. 그만큼 우유에 대한 충격이 상당히 크다.
우유의 역습은 오래된 관습에 대한 당연한 도전이었다. 프랑스 기자 출신인 티에리 수카리는 전작 ‘건강, 거짓말 그리고 선전’에서 우유에 대한 선전포고를 단행했다. 하지만 우유의 역습에 대한 반격 또한 만만치 않았다. 낙농업계와 정부기관 그리고 제약회사의 입장을 대변하는 우유 찬양론자들은 그녀의 논제를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하지 않는 모순이라 평가절하하고 가치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갖은 전략을 짜낸다. 하지만 그녀는 더욱 광범위하고 전문적인 통계자료를 준비하여 그들이 말하는 것이 얼마나 기만적이고 거짓인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그간 낙농업계와 정부기관이 줄기차게 외쳐온 유류제품 소비전략이 골다공증, 전립선암, 유방암 등에 어떻게 다르게 적용되고 있으며 얼마나 크게 모순되어 있는지 보다 사실적인 자료들을 제시하고 있다.
핀란드, 노르웨이,스웨덴등으로 대표되는 북유럽국가들은 지구상에서 유류제품의 소비가 가장 많은 국가들이다. 그들 국민들은 거의 매끼니 마다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을 통해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많은 칼슘을 섭취하고 있다. 헌데 문제는 유류제품은 골다공증을 예방하거나 축소한다 라는 제품 광고가 낙농업계와 제약업계 그리고 정부만을 위한 정책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최고의 유류제품 소비 국가들의 골다공증 증가율은 그들이 예상한대로 줄어들기는커녕 유류제품을 거의 소비하지 않는 일본이나 중국인들에 비해 4배 이상 늘어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유류제품과 골다공증은 거의 상관이 없다는 결과들이 속속히 밝혀지고 있음에도 대다수의 국가들은 여전히 유류제품과 골밀도와의 관계를 정확하게 밝히고 있지 않다.
유류제품이 보여주는 가장 취약한 부분은 카제인이라는 단백질과 IGF-1 이라는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호르몬 메신저의 감소와 증가로 인한 위험노출이다. 카제인은 각종 실험을 통해 발암물질을 증식시킨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고단백질식에 노출된 쥐들은 더욱 빠르게 암 병소를 촉진시켜 암을 전이하거나 악성으로 만들어 버리는데 실험과학자 조차 지나친 확대해석은 경계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성장호르몬인 IGF-1 이다. 유류제품의 칼슘이 성장을 확대시켜준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인간 성장주기와 송아지의 성장주기가 다르다는 것을 어느 누구도 말하지 않는다. IGF-1는 성장인자로서 세포를 증식하게 만든다. 하지만 IGF-1은 건강한 세포뿐만이 아니라 암세포의 속도도 빠르게 진행 시킨다는 치명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IGF-1 농도가 높은 사람은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그리고 폐암이나 위암에 걸릴 확률이 무척 높다는 통계가 있다. 또한 나이가 많거나 폐경기때 주로 나타나는 IGF-1의 감소는 제2형 당뇨병이나 골다공증,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내분비학이 해결해야할 과제들 중의 하나인 IGF-1의 문제를 유류제품으로만 해결하려는 방법은 극히 위험하다는 결론이다.
우리는 혼돈의 제국에 살고 있다. 유류제품의 홍수 속에서 우유를 마시지 않는다는 것은 식품의 절반 이상을 포기해야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만들어 준다. 먹거리를 가지고 위험스런 장난(?)을 많이 치지만 너무 쉽게 잊어버리거나 용서(?)해 버리는 것도 좋지 않은 풍토다. 우린 어떤 기관들이 어떤 이해관계에 얽혀 있는지 알지 못한다. 하지만 그들 역시 환경적인 변화에 순응하며 살아야하는 한 인간들일 뿐이다. 어떤 음식이 안전한 것인가라는 질문은 환경오염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아는 것과 같은 질문일 것이다. 지나치면 부족한 것만 못하다는 말은 풍요 속에 사는 우리들에게 너무도 필요한 말이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