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눈먼 자들의 국가 - 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
김애란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년에 나온 이 책을 이제야 한달음에 읽고 그해의 격랑을 만난다. 펜이 칼보다 강한지는 모르겠지만 피 같은 잉크의 불꽃이 타오르면 그 흔적은 뜨겁다. 그해 6월 초에 지방선거가 있었고 올해 같은 달에 또 지방선거가 온다. 권력을 재구성하고 정치에 참여할 기회가 다시 생긴다는 뜻. 개인적으로 이 책에 묶인 귀한 글들 중 정신분석학을 하는 김서영과 정치학을 하는 홍철기의 글이 특히 생각거리가 많았다.

세상은 신의 노여움을 잠재울 의인 열 명이 없어서 멸망하는 게 아닐 것이다. 세상은 분명 질문에 대답해야 할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질문하는 사람 자리로 슬쩍 바꿔 앉는 순간에 붕괴될 것이다.

"그런 거 신경쓰지 말고 당신 할 일이나 잘하세요." 구체적인 상황에서 맞닥뜨려보면 이 말은 꽤 충격적이어서 정말로 그래야겠다는 충동을 불러일으킨다. 공동체를 위한다는 건 그렇게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 – 배명훈

힘을 독점한 국가가 그 권력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할 때, 자기배려의 기술을 채 터득하지 못한 ‘국민’은 사멸한다. 생명보존의 자율적 주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한 채, 어처구니없이 죽음에 노출되고 마는 것이다.

호러국가는 인간이 생명을 유기하고 인간이 인간을 잡아먹는 괴물 지배의 상태다. 세월호는 구멍난 약육도생, 각자도생의 스테이트가 낳은 최악의 테러다.

세월호는 신자유주의의 파국적 예외가 아닌 파멸적 상례에 불과하다. – 전규찬

우리 자신의 무능력의 극복은 "사회적인 것을 정치적인 것으로 만드는" 공적 재현 행위와 그 실행과정에 그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하겠다. – 홍철기

이 사건을 통해 드러난 대한민국의 진실을 못 본 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소설의 주인공이 진실에 응답하지 않으면 이야기가 시시해질 뿐이지만, 우리가 그런 일을 하면 죽은 사람들이 한번 더 죽는다. 사람을 죽게 내버려두는 것은 불법이다. 같은 사람을 두 번 죽이기 전에 이 불법 정부는 기소되어야 한다. – 신형철(엮은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