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우월콤플렉스와 자존감

-자신보다 나은 상대나 집단에게 열등감을 느끼게 된다->노력해서 전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해내면 우월감과 성취감을 함께 느끼게 된다(긍정적인 열등감)
->노력했는데도 실패하면 방어기제가 발동->심화되면 우월콤플렉스->각종 중독에 빠질 수 있다
-우월콤플렉스를 흔히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자존감은 나를 존중하고 가치 있다고 여기는 감정이라 자존감이 아니라 자존심을 지킨다도 하는 게 맞을 것이다.

54. 가까운 곳에 비상구 마련하기

-열등콤플렉스가 심해지면 이상의 나와 현실의 나와 분리해서 보게 되고 우울증이 올 수 있다.
-우울증은 나도 모르게 서서히 갉아먹고 뇌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라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기 위해 가끔은 가면과 갑옷을 벗고 쉬어야 한다. 그러려면 가까운 곳에 비상구를 만들어놔야 한다. 단 한 사람이라도 좋으니 나의 모든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사람을 가까운 곳에 만들어놔야 한다.

일시적 감정에 의해서 자살을 선택한 경우, ‘나의 의지‘가 아닐수 있다. 그것은 자살이 아니라 ‘충동적인 감정에 의한 타살‘일수도 있다. - P27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2. 대인관계의 폭 넓히기

-사람들은 여러 시설이 갖춰져있는 도시에 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도시 같이 치열한 사회에서 살다보면 자연스럽게 자신과 남을 비교하게 된다.
-이때 사람은 열등감을 느끼고 자기보호본능이 나온다. 이때 긍정적인 자존심이 발동되면 이상의 나와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고 성장한다. 반면 자존심이 부정적으로 발동하면 현실의 나를 인정하지 않고 이상의 나에게만 집착해 우월콤플렉스에 빠진다.
-만약 열등감을 야기하는 사람이 주위에 있다면 나와 비슷한 사람을 만나 솔직한 마음을 털어놓으면 굉장히 도움된다.
-혹은 나와 정반대의 사람을 만나 자극을 받고 성장할 수도 있다.
-폭넓은 인간관계는 나의 편협한 감정을 해소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0. 열등콤플렉스에 대처하는 세 가지 방법

1)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임을 인정한다
: 사람은 태어나면서 완벽한 존재는 없다. 이것을 인정해야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을 줄일 수 있고, 열등감을 확대하거나 재생산할 일이 줄어든다.

2) 바꿀 수 없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 이미 바꿀 수 없는 일에 목매봤자 나아지는 것은 없다. 바꿀 수 없는 것들은 인정하고 현실을 똑바로 바라봐야 나아갈 수 있다

3) 가치관 바꾸기


51. 밑그림을 그린 뒤 목표에 집중하기

-목표가 없는 인생은 허무하고 안그래도 미래를 알 수 없는 인생에 불안감을 더할 뿐이다.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작은 목표 달성을 통해 성취감을 맛봐야한다.
-열등콤플렉스가 있다면 그 곳에서 시선을 떼고 목표에 집중하자

설령 잘하는 게 하나도 없을지라도 실망할 필요는 없다. 태어나면서 잘하는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하고싶은것들을찾아서 열심히 하다 보면 점점 잘하게 되고, 세월이 지나면 그것이 남다른 재능이 된다. 타인에게 인정받을 정도가 되면 새로운 가치관이 형성되고, 나를 옭아맸던 열등콤플렉스로부터 훌훌 벗어날 수 있다. - P259

"인생은 누구에게도 편안하지 않지만 그런 것은 아무 문제가되지 않는다. 인내와 특히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우리는저마다 나름대로의 재능을 지니고 있다는 것, 그리고 어떠한 희생을 치를지라도 도달하지 않아서는 안 될 목표가 존재한다는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 P2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8. 열등감으로 인생을 바꾼 사람들

-신체적 조건이나 다른 조건들이 좋지 않았지만 극복해내고 위대한 업적을 이룬 위인들을 예시로 들며 열등감이란 감정이 마냥 부정적이지 않고 잘 활용하면 성장의 도약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49. 열등감을 발판 삼아 도약하기

-그렇다면 열등감을 재료 삼아 도약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정면 돌파할 것인지 우회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 내가 가진 약점을 정면 돌파할 것인지 약점은 놔두고 장점을 집중 공략하여 다른 분야에서 빛을 발할지 결정한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고르면 된다.

2) 자신감 가지기
: 열등감을 내가 넘어야 할 허들로 인식하고 하기도 전에 안될거야 라고 생각하면 실제로 인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자신감을 가지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실제로 뇌에서 세로토닌이 분비되고 집중력이 높아지고 뇌에서 명령을 내려 몸 상태를 최상으로 끌어올린다.

3) 우월콤플렉스에서 벗어나 실체를 보기
: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다면 시작 자체를 할 수 없다. 우월콤플렉스릉 벗어던지고 자신의 실체를 확인해 앞으로 나아가는 길을 만들어보자.

4) 매일 한 걸음씩 나아가기
: 계속 노력하기 위해서는 보이는 성과가 있어야 한다. 단기 목표는 크게 잡지 않는 것이 좋고 목표가 클 경우에는 장기, 중기, 단기로 세분화해서 단기 목표부터 하나씩 이루어나가야 한다. 가능하면 한번에 볼 수 있는 도표를 만드는 것이 좋다.

인생의 걸림돌은 외부적인 것이 아니라 당신 마음속에 들어 있다. 무엇이 자신의 성공을 가로막고 있는지 가장 잘알고 있는 사람은 바로 당신이다. - P248

펄 벅은 말했다.
"불가능하다고 입증되기 전까지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불가능한 것도 현재 불가능한 것일 뿐이다." - P2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7. 열등감, 너의 정체는?

-열등감 : 자기를 남보다 못하거나 무가치한 인간으로 낮추어 평가하는 감정(간략하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열등감으로 나눌 수 있다)
-사실 열등감이란 감정은 생존을 위한 인간에게는 꼭 필요한 감정이다. 남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어떤 일을 하기 위해 부추기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열등감을 파헤쳐서 콤플렉스에 빠졌을 때다.(열등콤플렉스)
-열등콤플렉스에 빠지면 어떠한 것을 시작하지도 못하게 되고 불행을 순순히 받아들이게 된다
-반대로 자신의 열등감을 감추기 위해 다른 사람처럼 우월해 보이려고 할 수 있다(우월콤플렉스)
-우월콤플렉스에 빠지면 거짓말쟁이, 허세쟁이, 전과자가 될 수 있고 근본적인 열등감이 해소되지 않는다.
-열등감이란 감정 자체는 부정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이걸 긍정적으로 활용하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