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노동 - 세계화의 비극, 착취당하는 어린이들 세계 시민 수업 4
공윤희.윤예림 지음, 윤봉선 그림 / 풀빛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하게 자라야 할 아이들이 노동으로 가득한 힘든 삶을 살고 있다면 그것은 어른들의 책임입니다.

그 아이들을 보호해주지 못했으니까 말입니다.

자신들의 권리를 찾지 못하고, 어린 나이부터 삶의 현장에서 땀을 흘리며 수고하지만 정당한 값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

'세계화의 비극, 착취당하는 어린이들' 이라는 책 표지의 문구에서 보듯이

결국 세계화때문에 아이들이 더 착취를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언뜻 연결이 지어지지 않지만, 책을 읽어 보면 그 연관성이 다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계화로 인해 다른 나라로 수출해야 하는 양이 늘었고,

그 양을 감당하기 위해서 혹은 싼 가격에 맞추기 위해서 아동들이 노동에 동원됩니다.

이 책에서는 아동 노동에 관한 세계 여러 나라들의 실체를 보여줍니다.

책 속에는 방글라데시의 옷 그림자 공장, 우즈베키스탄의 목화솜 농장, 인도네시아의 팜 농장, 코프디부아르의 카카오 농장 아이들을 살펴 봅니다.

너무나도 어린 나이에 노동으로 내몰린 아이들의 비참한 모습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하나 하나 읽어 나갈수록 우리 아이들 또래, 혹은 더 어린 아이들의 현실에 마음이 아픕니다.

아이들이 이런 환경에 처한 것은 모두 가난하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이 싸고 저렴한 물건들만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그 물건이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는지에는 상관없이 말입니다.

그래서 더욱더 싼 노동력을 찾게 되고 그 대상이 아동이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 노동의 대가로 이익을 취하는 것은 바로 거대 기업들입니다.

그 후에 아동노동의 실체를 알게 된 사람들의 질타에는 자신들은 알지 못했다는 말로 발뺌하기 바쁩니다.
오로지 농장주들에게 그 잘못을 떠 넘길 뿐입니다.

요즘은 꽤 많은 사람들이 공정무역 상품을 사기 위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아동노동이 들어가지 않았고 정당한 댓가를 지불한 착한 물건들입니다.

또, 아동노동을 줄이기 위해서 이런저런 노력들을 하고 있습니다.

그 시작은 크지 않아도 좋습니다.

'나 하나쯤이야'하는 생각이나 '나 하나 한다고'하는 생각만 버리면 됩니다.

아직도 세계에는 아동노동에  힘들어 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제 '나 하나라도'라는 생각으로 동참해 봅시다.

아동노동없는 행복한 아이들의 얼굴을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