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꾸제트
질 파리 지음, 성귀수 옮김 / 열림원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꾸제트를 책보다 먼저 영화로 만나 본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책을 읽다 보면 사랑스러운 호기심덩어리 꾸제트가 과연 어떻게 표현되었을지 궁금해서 영화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먼저 꾸제트라는 이름은 호박덩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카로스라는 이름이 있지만, 다들 꾸제트라고 불렀다.

꾸제트의 엄마는 텔레비전만 보면서 세상 구경한답시고 영계랑 떠난 얼빠진 아빠를 이야기하며

인생이란 우중충한 하늘과 같아서 재수없으면 더러운 구름이 싸대는 오줌줄기를 고스란히 뒤집어쓰게 된다고 불평한다.

매일 이런 이야기를 듣고 사는 꾸제트는 늘 하늘을 죽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세상 구경을 간다는 아빠는 도대체 왜 옆집 어린 닭을 데리고 갔는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엄마를 어찌할 수 없으니 대신 원망의 대상이 된 커다란 하늘을 죽이고 싶어서 총을 쏘았던 꾸제트는 결국 엄청난 일을 저지르고 만다.

사고 현장에 온 경찰관 레이몽은 꾸제트를 보호소로 데려다주고 일요일마다 와서 함께 시간을 보낸다.

그런 레이몽이 꾸제트에게는 부모 대신이 되고, 기다림의 대상이 된다.

꾸제트는 오줌싸개 아흐메드와 허세 왕 시몽과 같은 방을 쓴다.

특히 꾸제트의 천사 카미유와 함께 하는 시간들은 늘 두근거림의 연속이다.

아이들간의 소란스러움과 가끔은 서로를 향한 배려와 또 가끔은 서로를 향한 투덜거림이 책 속에 가득 담겨 있다.

말썽을 일으키면 해야 하는 난간 청소도 떠들썩한 식탁도 아이들의 목소리로 조용할 날이 없다.

서로 다른 불행 속에 살아 왔던 아이들은 보호소에서 만나 서로에게 형제가 되고 자매가 되고 친구가 된다. 

다양한 성격의 아이들과 억지스럽지 않은 여러 설정과 줄거리들이 우리를 이 소설 속으로 이끌어간다.

아이들의 사랑스러움은 어떤 상황에 있더라도 결코 없어지지 않고, 단지 움츠러져 있을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작가는 그런 점을 잘 묘사했고, 그래서 어두울 수도 있는 보호소의 아이들 이야기이지만 유쾌하게 읽어나갈 수 있다.

저자가 작품을 집필하는 동안 문제아동 수용기관을 드나들면서 공부하고,

여러 기관들의 자료와 전문가들, 그리고 아이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라고 하니 그 만큼 사실적이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어두운 환경에서도 빛을 내는 아이들을 만나보고 싶다면 꾸제트를 만나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