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를 통해 배우는 한국 고사성어
임종대 엮음 / 미래문화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사성어'하면 떠오르는 것은 우선 삼국지이다.

참으로 많은 고사성어를 연상시키는 것이기 때문인데, 이 책 소개를 보면서 생각해보았었다.

'한국 고사성어'라........무엇이 있을까 하고.

몇 개의 고사성어아 머리를 스쳐 지나갔지만, 어떤 것이 한국 고사성어인지 확실하지는 않았다.

단지 기억나는 것은 함흥차사 정도랄까.

저자는 이웃 나라 중국의 고사나 성어는 스스럼없이 말하면서도 우리 역사에 간직된 고사는 성어화하지 못한 아쉬움이 컸다면서,

주옥같은 교훈을 되살리고 정신문화 확산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소망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정말 우리는 우리 문화를 좀 경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는 반성을 하면서 책을 펼쳐 보았다.

책은 총 2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1부는 유래와 인물에 관하 고사성어, 2부는 주제별로 지혜 지략, 성패 정치 처세, 마음 철학, 사랑 충효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내가 아는 고사성어는 무엇이 있나 싶어서 목차를 쭈욱 살펴 봤다.

두문불츨, 이전투구, 함흥차사, 흥청망청, 송도삼절, 도모지, 야단법석, 이판사판, 자린고비, 홍익인간, 해동공자, 부전자전, 칠삭동, 홍의장군, 백의종군, 패가망신, 이심전심, 신토불이, 일체유심조, 마의태자......

처음에는 좀 많은 듯 보이더니 뒷편으로 갈수록 아는 것이 적어지는 분위기였다.

또 알고 있는 말이지만, 이것이 고사성어인줄도 모르던 것들도 많았다.

우리 아이들이 이순신장군을 좋아해서 놀면서도 하는 말이 바로 "나의 죽음을 알라지 말라~"이다.

이 말이 바로 '물언아사'라고 한다.

또, 선덕여왕이 했던 "이 꽃은 아름다우나 나비가 없으므로 향기가 없을것이다."라는 말인 '무접무향'도 알게 되었다.

어떤 일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요건이 없다면 그것은 완전한 것이 아니라는 뜻이라고 한다.

야단법석이나 이판사판은 원래 불교에 관련된 말이 었는데, 뜻이 변질된 말이라고 하니 시대에 따라서 변하는 말이라는 걸 느낄 수 있다.

우리가 늘상 쓰는 말이지만, 한자로 옮겨서 고사성어가 되니 익숙치 않은 부분이 있다.

한자를 곁에서 항상 접하지 않아서 그 뜻이 얼른 머리에 안와닿으니 그런 것 같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네"라고 자주 말하면서도 '기부기자'라고 하면 그게 뭔 말이래 하는 생각이 들듯이 말이다.

이 책 속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등장한다.

하지만 그 속에서 나온 고사성어들은 익숙치 않은 것들이 많은만큼 우리가 좀 더 우리의 고사성어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것은 명백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