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역사 제대로 모르면 안 되나요? : 조선(상) - 조선 건국부터 갑자사화까지 제대로 배우는 조선 전기 역사 이야기 왜 안 되나요 역사 시리즈
구원경 지음, 정순임 그림, 김봉수.배성호 감수 / 참돌어린이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정말 역사는 제대로 모르면 안되는 것 중의 하나다.

우리가 날마다 역사 왜곡의 현장을 보고 있으니 더 그런 생각이 든다.

우리라도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물론 이 말은 아이들에게도 예외는 아님에 틀림없다.

역사를 배울 때 처음부터 차근차근 시대별로 배워 나가면서 그 당시의 상황도 이해하고 인물도 이해하면서 역사를 배워 나간다면 좋겠지만,

우리 아이들같은 경우는 역사에 그다지 많은 흥미가 없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단편적인 이야기들의 모음책이다.

<왜 역사 제대로 모르면 안 되나요?> 바로 그런 책이다.

조선은 상, 중, 하 세 권으로 나누어져 있고 이 책은 그 중에서 상권이다.

보통 조선 역사를 공부할 때 조선 전기, 후기로 배우게 되는데 이 책은 상중하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중기 부분에 좀 더 관심을 두도록 구성했다고 한다.

조선 전기는 조선의 건국과 발전 과정을 인물 이야기 중심으로 이해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고 한다.

차례를 쭈욱 읽어 가다 보면 흥미로운 제목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왕의 이름을 따서 이름 붙인 음식이 있다고요?

부엉이을 무서워하는 왕

왕비가 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했나요?

조선 시대에도 수능이 있었다고요?

신문고를 울리기는 힘들어!

조선 사람들은 왜 하루에 두 끼만 먹었나요?

숙주나물의 숙주가 사람이라고요?

조선 시대에 출산 휴가가 있었다고요?

이렇듯 제목 속에서 조선의 사회상을 짐작할 만한 내용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었다.

조선이라면 현대와 많이 다를 것 같은데, 은근히 비슷한 면도 많이 보이고 말이다.

 

각 주제들은 두 페이지의 짧은 내용으로 구성되어져 있어서 아이들이 흥미롭게 생각하는 부분만을 찾아서 읽기에도 부담이 없다.

내용도 흥미롭게 아이들이 좋아할만하게 딱딱하지 않고 재미나게 쓰여져 있고, 적절한 삽화도 눈길을 끈다.

신문고라는 것이 힘든 백성들이 울리라고 있는 것인줄 알았더니만, 책을 읽어보니 실상은 그렇지도 않았다고 한다.

노비나 상민들은 거의 신문고를 이용하지 않았고, 한양의 관리들만 거의 두드렸다고 하니 그 실효성이 좀 의심스럽기도 하다.

또 지방 백성들은 한양까지 올라오기 힘드지 칠 수 없었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