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라 (2015 세종도서 교양부문) - 의사가 말하지 않는 콜레스테롤의 숨겨진 진실
스티븐 시나트라, 조니 보든 지음, 제효영 옮김 / 예문사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콜레스테롤은 우리 부분에게 있어서 늘상 조심스럽고 두려운 이름이다.

남편은 콜레스테롤이 좀 높고 나도 그다지 안심할 수준은 아니기 때문이다.

친정 아버지께서도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을 드시고 계셔서 더 그렇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늘상 먹는 음식을 먹을 때면 콜레스테롤이 많다고 알려진 음식을 피하게 되고, 그만큼 제약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책을 발견했다.

'콜레스테롤 수치 높아도, 건강에 이사 없다!'고 쓰여진 책 표지를 보니 눈이 번쩍 띄인다.

이 말이 정말일까?

일단은 의구심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너무나도 당연하게 알려진 사실이 이 책에서는 정반대로 부인되고 있다.

흔히 알려진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에 대한 정의가 잘못 되었다는 것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이야기하는 LDL 중에서도 일부인 크기가 작고 단단하며 밀도가 높은 B형 만이 실제로 심장질환에 위험인자로 작용한다고 한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단순히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아니라 트리글리세리드와 HDL의 비율이라고 한다.

지질 가설을 주장한 안셀 키즈 박사의 60년 전의 연구때문에 포화지방이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심장질환으로 이어진다는 내용이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름에서 보여지듯이 여전히 가설일 뿐이고 증명되지 않은 사실이라고 강조한다.

실상 콜레스테롤은 우리 건강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고 심장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은 주로 산화로 인한 염증이라고 한다.

포화지방이 위험한 것이 아니라 정작 가장 중요하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은 바로 우리가 즐겨 먹는 '당'이라고 한다.

책 속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알아보기 편하게 쉽게 설명되어져 있다.

의학적인 내용이 많지만 저자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여져 있어서 읽는데 무리는 없다.

지방이 해롭지 않다는 내용중에서 우리가 흔히 즐겨 먹는 카놀라유가 아주 끔찍한 기름이라는 부분에서 놀랐다.

콜레스테롤 수치만을 낮추어 준다는 스타틴의 많은 부작용에 대해 읽으니 약을 복용하시는 아버지가 엄청 걱정스럽기 시작했다.

책의 뒷부분들은 건강한 심장을 위해 우리가 먹어야 하는 음식들에 대해 나와 있으니 참고하면 좋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한 것은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에게 한치의 의심도 없이 진실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던 사실이 정말은 오류로 범벅된 것이 었다는 사실이었다.

정확한 근거를 가지지 못한 주장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진실로 위장되는지 경악스럽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이런 잘못된 오류들이 하루빨리 밣혀져서 건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는 사람들이 올바른 방식을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

몇 몇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전 세계 국민들을 위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