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이 쉬워지는 미술책 - 박물관과 미술관 가기 전에 읽는 사고뭉치 9
윤철규 지음 / 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그림하면 떠오르는 것은?

민화, 김홍도, 신윤복, 정선, 김정희, 먹, 또......

솔직히 말해서 그다지 많이 떠오르는 것들이 없다.

우리네 그림이면서 정작 서양 회화보다도 모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서양화를 볼 수 있는 기회는 그래도 제법 자주 만날 수 있는에, 우리네 그림은 별로 감상할 기회가 없었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그만큼 우리 옛 그림과의 사이가 벌어져 있겠지만, 이 책을 보면 옛 그림이 쉬워진다고 하니 기대를 잔뜩하고서 책을 읽어 본다.

작가는 아이들에게 말한다 생각하고 아빠가 되어 한국 미술을 소개하는 책을 썼다고 한다.

작가는 미술을 커다란 나무에 비유했다.

뿌리는 그림 그리는 사람, 줄기는 그림 기법, 열매는 그림, 열매를 담는 수레는 그림의 용도.

첫부분은 옛 그림을 감상하기 전에 알아 두어야 할 점으로 시작된다.

무엇을, 누가, 왜 그렸는가에 대해서이다.

이 부분은 간단한 내용으로 되어 있고 관련 내용들은 책을 읽다 보면 더 상세하게 알게 된다.

이제 본격적인 옛 그림을 읽는 법으로 들어 가면 산수화, 고사 인물도와 초상화, 풍속화, 화조화와 민화로 나누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책을 읽어 보니 옛 그림에서는 우리의 정신을 참으로 중요하게 생각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히 눈 앞에 보이는 것들을 그렸던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마음 속에 품고 있던 이상향 같은 것 말이다.

더군다나 초상화를 그려도 각자가 품고 있는 정신을 그려 내지 못하면 아무리 잘 그린 초상화라도 훌륭한 그림 대접을 받지 못했다고 하니 말이다.

옛 그림에도 요즘처럼 유행이 있었다는 사실도 알게 된다.

화가가 어떤 기법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렸는지, 어떤 내용을 그렸는지 등에 대한 설명을 읽으니 점점 옛그림에 대해 관심이 생기는 것도 같다.

많이 알고 있는 옛 그림도 많이 등장하지만, 처음 보는 그림들도 상당수 있었고 그만큼 그림을 세밀하게 살피게 되었다.

특히 <화성능행도 8곡병>의 세밀함에는 감탄을 내놓을 수 밖에 없었다.

이 그림에 대해서는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세세하게 살펴본 적은 없는 것 같다.

여덟 폭 병풍으로 그려졌다는, 정조대왕이 수원 행차할 때에 있었던 행사 장면을 그린 그림이라고 하는데 그림이 어찌나 세밀하게 잘 그려져 있는지 꼭 직접 보고 싶었다.

그림의 크기를 보니 거의 성인의 키만 하던데, 진짜로 보게 된다면 더 자세히 살펴볼 기회가 될테니 더 감탄을 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쓰여진 책이라 내용이 어렵지 않아서 이해하기 좋았다.

꼭 옛 그림에 대해서가 아니라도 상식으로 알고 있으면 좋을 내용들도 많이 있어서 아이들에게 필시 유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