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보물섬, 제주도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동서남북 우리 땅 3
황선미 지음, 조에스더 그림 / 조선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주도는 가깝지만 먼 곳이다.

대학생 때 한 번, 신혼 여행 때 한 번.

딱 두 번 가봤다.

우리 아이들은 아직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곳이 바로 제주도이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있어서 제주도는 아직까지는 그림의 떡이다.

그림을 보더라도 제대로 맛갈나게 그려진 그림을 보여주면 더 좋을 법한데, 바로 이 책이다 싶다.

이 책을 만나고 보니 정말 제주도에 대한 사랑이 가득 담긴 책이다.

아이들의 눈으로 보기에 적절하게 설명되어져 있고, 단순하게 제주도를 소개하는 글이 아니라

아이들이 좋아하는 황선미 작가의 동화 속에 잘 펼쳐져서 녹아 있는 제주도를 볼 수 있다.

제목에 쓰여져 있듯이 제주도는 정말 보물섬이지 싶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그리고 유인도 8개와 무인도 55개로 이루어져 있다.

거친 파도가 몰려와 더욱 게세진다는 가파도에 사는 가파초등학교 전교생 일곱 명이 주요 등장 인물이다.

선생님께서 '제주교육문화축제'에 참여할 것을 권하시면서 아이들의 제주도 보물 찾기가 시작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길다는 용암동굴인 만장굴을 찾아 낸 부종휴 선생님과 아이들처럼.

제주도에는 용암동굴이 백육십여 개나 있다고 한다.

제주도의 역사를 공부하던 연이는 제주도에 너무나도 가슴 아픈 역사가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몽고의 말 목장, 해녀들의 항일 운동, 출륙금지령, 제주 4.3사건, 이재수의 난 등.

섬이라는 특성때문에 겪어야 했던 일들이 많았다.

용암이 분출된 지대에 생겨난 특이한 숲이라는 곶자왈은 처음 들어보는 말이었다.

남방계 식물과 북방계 식물이 공존하는 곳으로 언뜻 보면 쓸모없는 땅처럼 보여서 많이 훼손되었다고 한다.

겨울에 딸기를 발견할 수 있고 봄에 낙엽이 진다는 정말 눈으로 직접 가보고 싶은 곳이다.

제주도의 지도를 만든다는 빛나와 세리 덕분에 제주도에 전설이 엄청나게 많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 많은 신화 중에 들어본 것이 설문대할망 뿐이라니......

제주도는 한집이 두 채로 이루어져 있고, 각 채마다 부모와 자식 부부가 따로 산다고 한다.

한 가족이지만, 부엌도 따로 있어서 서로의 생활을 존중해 준다고 한다.

또, 제주도에는 아저씨, 아주머니라는 말 대신에 삼촌, 여편삼촌이라는 말로 부른다고 한다.

삼촌처럼 서로를 가깝게 생각한다는 정겨운 말이라고 한다.

우리가 제주하면 떠올리는 감귤에도 뼈아픈 이야기들이 실려 있었다.

이렇듯 단순하게 생각하면 그저 단순하게 풍경이 멋진 관광지라는 생각이 들지만, 깊이 알아 보면 참 사연 많은 땅이 바로 제주도인 것 같다.

아이들에게 제주도에 대해 알려줄 수 있는 책으로 이처럼 적합한 책은 또 없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