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두 여인 한국문학사 작은책 시리즈 2
홍상화 지음 / 한국문학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의 두 여인은 한국의 두 여인을 보여 준다.

작가의 말에 의하면 '자신의 희생을 통해 가깝거나 사랑하는 사람을 감싸안고 용서하는' 여인들이다.

이런 여인들의 이야기를 단편에 담는 것에 대해 작가는 세 가지의 이유를 들어 납득시킨다.

책 속에 등장하는 여인들은 능바우 여인과 동백꽃 여인이다.

제목만으로는 아직 어떤 여인들이 등장할 지 확실하게 짐작할 수는 없다.

은행 지점장을 지내고 퇴직한 성환 씨는 얼마 전에 보험 회사에 주부 영업 사원으로 취직한 며느리를 출근 시켜 주고 있다.

지난 밤에 아들에게 들었던 빌딩의 야간 경비직 자리에 대한 며느리의 의견을 물어 보니, 며느리는 좋은 직장이라는 듯이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성환 씨는 서민 아파트를 무료로 빌려 준다며 경비직을 권한 아들 며느리가 서운하기만 하다.

거기에 자존심이 무척이나 센 아내에게도 이야기를 했다고 하니 놀라고 만다.

며느리는 성환 씨의 고향인 능바우의 고향 친구들이나 장관을 지낸 친구에게 보험을 권해줄 것을 재차 강조한다.

성환 씨의 부인, 심 여사는 일가 결혼식을 위해 능바우를 방문해 흐뭇함을 맛보았다.

능바우 여인들은 다가온 역경이 그냥 흘러 가도록 했고, 삶의 종말을 우아한 죽음으로 택했다.

남편의 야간 경비직에 대한 능바우 여인, 심 여사의 결정은 무엇일까?

답답했던 현실에 답을 제시하고, 거기에 더하여 다가올 미래까지 밝은 모습으로 스케치하는 여인을 잘 볼 수 있다.
또 한 여인인 동백꽃 여인 또한 가슴 아픈 삶을 살아 내고 있다.

4년 전 재혼한 남편이 폐암 말기로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있는 것이 그 아픔의 가장 큰 이유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미국에 있던 두 아들들과 딸 부부가 홍 여사에게 친근하게 잘 대한다는 것이다.

혹시 남편이 죽더라도 착한 아이들이 있어서 걱정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른 부분가 1년을 사는 것처럼 하루 하루를 살아 가던 부부에게 남은 시간을 겨우 한 달이었다.

아버지의 죽음과 유언장 공개, 그리고 밝혀 지는 자식들의 진심.

책을 읽어 가는 내가 이렇게 마음이 아픈데 실제로 이런 처지에 있게 된다면 얼마나 절망적이 기분이 들지 짐작하기 힘들다.

하지만, 동백꽃 여인 홍 여사는 나름의 방법으로 처신하고는 자신의 길을 간다.

이렇게 삶을 고통과 힘겨움으로 살아 낸 우리의 어머니들.

단지 살아 낼 뿐 아니라, 그 고통과 힘겨움까지 모두 감싸 안아 주는 두 여인의 모습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나는 어떤 여인일까? 문득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