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아빠의 논술 멘토링
배상복 지음 / 하다(HadA)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논술이 아이들의 공부에서 주요관점이 된 지 시간이 꽤나 흐른 듯 하다.

그래서, 초등학교 때부터 독서를 많이 해야 한다는 압박에 시달리는 것은 기본이고

독서논술 학원이나 독서 프로그램이 아이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공부과목이 되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술이라는 말은 아이들에게 어려움으로 다가오는 것 같다.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정해진 틀에 맞추어서 논점을 제시하고 설득해야하는 논술은 상당한 고뇌를 수반한다.

이 책을 쓴 기자 아빠도 고3 수험생을 둔 아빠로서 아이에 대한 간절한 마음을 담아서 쓴 책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은 정말 꼼꼼하고 세세하게 작은 부분까지 정말 잘 가르쳐준다.

논술에 대한 고액과외를 받는 느낌이라고나 할까.

논술이란 무엇이며 어떤 의도로 출제가 되는지부터 시작해서 어떻게 써야 하는지가 조목조목 잘 적혀 있다.

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차분하게 읽어 나가면 논술에 대해서 달리 배워야 할 것은 없어 보일 정도다.

그리고 '배기자의 논술 멘토링'이라는 부분에는 실제로 문제가 출제되어 있고 예시 답안이 있다.

여기서 예시 답안이라고 했지만 정답은 아니고 저자가 붙인 제목인 '꼬집힐 답안'에서 알 수 있듯이 잘못된 부분을 짚어 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수정할 부분을 이야기하는 부분은 '지적질 퍼레이드'라고 되어 있고, 어떤 방법으로 답안을 수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잘 나와 있다.

아무래도 실전처럼 아이들이 느낄 수 있어서 무척이나 유용하게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논술에 대해 하는 오해 중의 하나로 깊은 지식을 요구한다고 생각하지만 고3의 일반적 상식 수준이면 충분하다고 걱정을 덜어준다.

논술은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서 논리적으로 써야 하는 글이고 평소에 토론하는 습관이나 신문의 논설이나 칼럼을 읽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다.

요즘은 한 주제에 대해서 찬반 토론을 하는 책들도 다양하게 출간되어 있으니 아이들에게 팀을 나누어서 찬반을 토론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논술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가 끝나면 본격적인 글쓰기에 들어 간다.

그 방법에 대해서는 한 부분씩 나누어서 차분하게 잘 설명이 되어 있다.

개요, 주제, 논제와 제시문 이해, 서론, 본론, 결론, 요약 문제.

그리고 강조하는 것 중의 하나가 시험지를 제출하기 전까지 가능한 한 많이 고쳐서 제출하라는 것이다.

지저분한 것보다는 내용이 우선이라는 기준을 제시하면서 말이다.

또, 문장을 쓰는 방법까지 하나하나 나와 있는 마지막 10장은 정말 보탬이 되는 부분이다.

논술이 아니더라고 꼭 알아 두어야 할 내용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