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자녀와 소통을 위한 스토리텔링 자녀교육
오정미 지음 / 미디어숲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가 머리말에 쓰고 있듯이 자녀교육에 관한 책들은 넘쳐 난다.

이런저런 다양한 이름들을 붙이고는 있지만, 어찌 보면 근본적으로는 비슷한 내용들을 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자녀교육에 관한 책들이 출간되는 것은 작가의 말처럼 잊어버리는 부모들에게 자극제가 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래서, 책도 계속 읽게 되고 여러 곳으로 강의를 듣기 위해 가기도 한다.

작가는 요즘을 폰세대라고 이야기하면서 과거에 비해 다른 특성들을 보인다면서 '유아가부터 청소년기'까지 부모가 반드시 점검하고 갖추어야 할 핵심요소를 다섯 가지로  정하여 다루었다고 한다.

학습, 소통, 창의, 성품, 습관.

이 다섯 가지 모두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으나 나는 소통과 성품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쏟아 읽어 보았다.

이런 것들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다면 다른 것들도 자연스럽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다.

작가가 말하는 '기본이 바로 서 있는' 아이들이 된다면 말이다.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바로 부모의 신뢰이다.

그 바탕 위에서 학습도 되고 소통도 되는 것이다.

아버지의 양육 태도가 아이들의 성품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이제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아들들은 여성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아버지가 있었다는 말을 들으니 우리집과 연결을 시켜보려고 해봤지만,

우리집 아빠는 다정스러운 여성적인 분위기와는 전혀 거리가 먼데 어떻게 해야 할까 싶다.

이제부터라도 많이 안아주라고 해야하는 건가?

또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역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독서.

작가가 이야기했던 학습효과를 올리는 비법을 읽어 보니 우리 집은 개선할 부분들이 좀 많은 것 같다.

아이 혼자서 공부하는 공부방을 선호하지 않았는데, 아이가 커가는 과정에서 이제 조금은 공부 장소를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또, 작가는 올바른 소통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다.

학창시절 아이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교사와의 의사소통도 중요하게 여기고 여러 가지 조언들을 해준다.

이런 모든 행동들과 교육 방식의 밑에는 자녀를 인격체로 대하고 자녀의 인격을 모독하지 않는다는 기본 생각이 깔려 있어야 하는 것 같다.

우리 나라 부모들이 특히 자녀를 자신의 소유로 인식하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제 그런 생각들은 필히 버려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