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를 구한 개 - 버림받은 그레이하운드가 나를 구하다
스티븐 D. 울프.리넷 파드와 지음, 이혁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버림받은 그레이하운드가 나를 구하다-

참 적절한 제목이다. 

'늑대를 구한 개'라는 제목도 마찬가지이다.

엄마가 읽고 있던 이 책을 본 큰아이가 읽고 싶다는 말을 전한다.

"아들아, 이 책에 나오는 늑대는 진짜 동물 늑대가 아니고 사람이란다."

이 책의 저자인 스티븐 울프는 척추 질환으로 혼자 걷는 것조차 힘들게 된 전직 변호사로 이 책은 자신이 겪었던 일을 기록한 실화이다.

심각한 건강상태로 회사에서 은퇴당한 울프는 안정을 취하기 위해 가족과 떨어져 세도나로 거처를 옮긴다.

그레이하운드를 보고 나서 울프는 개를 분양하고싶은 마음과 과연 제대로 돌볼 수 있을까하는 마음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위탁 목장에서 자신을 선택한 듯한 카밋을 보고 마음을 정하게 된다.

그레이하운드는 태어난 지 넉 달이 되면 좁고 불편한 크레이트에 갇혀 숨쉬기 힘든 생활을 하다가, 훈련이나 경주에 투입이 되고 쓸모가 없어지면 도살되거나 버려지는 처참한 삶을 살아간다고 한다.

가축처럼 사육된 그레이하운드는 삶이 경주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사람과의 교감에 서툴고 사회성도 가르쳐야 하고 야외에서 키워도 안된다.

울프의 걱정과는 다르게 많은 문제점을 보이는 다른 그레이하운드들보다 카밋은 둘만의 생활에 무척 잘 적응했다.

카밋과 울프가 서로에게 맞추어 나가는 과정이 상세하게 잘 기록되어져 있다.

책을 읽어 가다 보니, 개와 사람이라는 상황이지만 가끔 두 사람간의 생활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 때도 있었다.

건강 상태는 갈수록 나빠져 이제는 혼자서 서 있기 조차 힘들게 된 울프는 카밋을 보조견으로 훈련시키기로 결심했다.

보조견으로 등록하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카밋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조견으로 훈련시키는 과정으 무척이나 복잡했고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전문가들의 도움을 구하고자 했지만, 그레이하운드를 보조견으로 훈련시켜 본 적이 없다며 다들 회피하기만 했다.

그래도, 울프는 결심을 굽히지 않고 하나하나 직접 가르치기 시작했고, 카밋도 울프의 가르침을 잘 받아들여서 나날이 발전된 모습을 보였다.

이제 카밋은 울프에게 있어서는 결코 없어서는 안될 존재가 되어 간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둘 사이에 믿음이 쌓여 가는 모습을 적절히 잘 묘사해놓아서 공감을 많이 느끼면서 읽어 나갈 수 있었다.

잘 나가는 변호사에서 순식간에 직장을 잃은 실업자에 건강은 최악이고 더불어 딸들마저 아버지에게서 점점 멀어지고 있던 시점에서 만난 카밋은 울프에게 있어서 결단코 단순한 개가 아니었다.

힘든 삶을 살았을 카밋에게도 물론 그렇겠지만, 울프에게 있어서도 카밋은 정말 자신의 삶을 이끌어 준 절친한 친구같은 존재이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