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는 냄새만 맡을까? 인체과학 그림책 2
백명식 글.그림, 김중곤 감수 / 내인생의책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받은 책을 바빠서 책장에 꽂아 두었더니 둘째가 어느새 빼서 읽었나보다. 

제목에서 일단 끌렸나 싶다.

코는 당연히 냄새를 맡는데, 코는 냄새만 맡을까라고 했으니 궁금할 법도 하다.

다 읽고 난 아이가 한 한 마디는, 모르는 말들이 많이 나온다고 했다.

정말 그런지 책을 살펴 보니, 아이가 모를만한 단어가 몇 개 들어 있다.

코는 300억 개의 공기 분자 속에 냄새 분자가 한 개만 있어도 냄새를 맡을 수 있다고 하니 대단하다.

사람이 이런데, 개는 얼마나 대단한 숫자를 보여줄지 궁금한 부분이었다.

책에 보면 돼지가 개보다 더 냄새를 잘 맡는다고 하니 돼지는 또 어떤지도 궁금하다.

코안에 있는 코털은 먼지나 병균을 걸러준다는 것까지는 알았는데,

코안에 있는 혈관이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만들어 준다는 내용은 처음 들어 보았다.

이제는 추운 곳에 가면 코가 빨개지는 이유를 알 수 있게 되었다.

코의 냄새맡는 기능을 담당하는 코안 천장에 있다는 후세포.

후세포에 염증이 생기면 냄새 맡는 기능이 떨어진다고 한다.

아이들에게 주의깊에 알려 주어야 할 부분은 바로 코는 냄새만 맡는 다는 것.

무슨 냄새인지 알아차리는 것은 코의 기능이 아니라 뇌의 기능이라는 것이다.

지독한 냄새를 풍기는 동물들도 많이 있다.

그 중에서도 태즈메이니아 데블이라는 긴 이름을 가진 동물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지독한 냄새를 풍긴다고 하는데,

마구 마구 상상이 된다.

도대체 어느 정도일지 말이다.

책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냄새가 어떻게 퍼지는지에 대해서도 알려 준다.

냄새로 암세포를 찾아낼 수도 있다고 하니 정말 신기하다.

코, 그리고 냄새와 관련된 이런 저런 내용들을 잘 담아놓은 책이다.

몇 가지 생긴 궁금한 점들은 다른 책들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책 전체의 내용이 그림으로도 잘 그려져 있어서 아이들이 보기에도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