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에서 찾아온 사회 개념 1 - 촌락.중심지.교류 초등 개념 학습 동화 시리즈
김진욱 지음, 조국희 그림, 이희란.노영란 감수 / 동아엠앤비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드로메다로 개념을 관광보내다' 는 말이 있다.

바로 개념이 없다는 말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아이들은 바로 사회 개념을 안드로메다에 버렸다.

사회를 엄청나게 싫어하는 아이들이 나오는 책이라 우리 아이들과도 오버랩되면서 급관심이 간 책이기도 하다.

사회를 처음 시작하는 아이도, 조금 배운 아이도 사회는 참 많이 싫어라하는 과목이다.

특별히 어려운 내용이 나온 것도 아닌데 말이다.

그래서 안드로메다로까지 개념을 버린 아이들에게 어떻게 개념을 알려 주는지 관심이있게 읽었다.

일단 책의 형태는 환타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안드로메다로 버려진 개념들이 너무 많아서 우주의 위기를 느낀 안드로메다 국왕은 '그들'을 출동시킨다.

바로 여기저기 녹슬어 가는 우주선을 끌고 다니며 가끔 큰 사고를 치지만 능력만은 최고인 특수 요원 아작과 메타였다.

우주의 평화를 위해서 그들은 개념이 들어 있는 개념 원구를 화이트 큐브에 넣어서 지구로 돌려보내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두 사람이 처음으로 찾아 간 아이는 '도시와 촌락' 개념을 버린 박대충이었다.

안드로메다에서 개념을 배달왔다는 두 사람의 말을 전혀 믿지 못하던 대충은 결국 우주악당 투팍에게 개념원구를 빼앗기고 만다.

그러자 갑자기 이 세상에서 촌락이 싹하고 사라졌다.

촌락따위는 필요없다고 큰소리치던 대충은 촌락이 사라져서 바뀐 환경이 너무나도 놀라웠다.

농부, 어부가 없어 먹을 음식이 없고 알약으로 식사를 대신하는 것은 너무나도 끔찍했다.

다행이 그건 가상현실이었지만, 이제 대충은 아작과 메타와 함께 투팍에게 빼앗긴 개념원구를 찾으로 함께 우주선을 탄다.

하지만 투팍은 쉽게 잡히지 않고 결국 촌락이 없어지고 그 자리에 도시가 서는 일을 겪게 된다.

대충이, 아작과 메타를 따라가면 그들의 대화 속에 사회 개념이 쏘옥 스며들어 있다.

이야기속에 개념이 들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쉽게 이해했고, 어려워하지 않았다.

평상시에 촌락은 이거고, 도시는 이거고, 교통 수단은 이러이런 것이다.

가볍게 이야기하고 넘어갔으며 무언가를 설명하기도 애매했던 개념들일 머리 속에 제자리를 잡기 쉬웠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안드로메다로 날려 버린 개념들이 무지개빛 큐브안의 개념 원구들로 되어 아이들 입안으로 돌진했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사회가 맛있는 음식이 된다며 더 바랄 것이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