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카소가 모나리자를 그린다면? - 모나리자로 알아보는 서양 미술사 내인생의책 인문학 놀이터 1
표트르 바르소니 지음, 이수원 옮김, 이명옥 감수 / 내인생의책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나리자. 

모르는 사람이 없는, 물론 아이들도, 작품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걸작인 모나리자를 서양 미술사에 등장하는 여러 화가들이 그린다면 어떨까 상상해보자.

몇몇은 짐작이 갈수도 있겠지만 궁금하다.

이 책은 모나리자라는 특정 작품을 통해서 서양 미술사를 알아 보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작품을 보면서 아빠와 아이의 대화를 통해 화가나 화풍, 그림의 특색 등에 대해서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흐, 고갱, 쇠라, 피카소는 작품을 보면 척하고 알 수 있었지만, 다른 작품들은 잘 모르겠다.

모나리자라는 한 작품을 화가별로 비교가 되기 때문에 작가 마다의 성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무엇이 무엇인지는 몰라도 그림의 분위기나 색채, 구성등만 살펴 보아도 재미났다.

화가들을 살펴 보니 모르는 화가들이 왜 이렇게 많은건지.

미술사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도 느껴본다.

어떤 그림은 '설마, 이게 모나라지야?' 싶은 작품들도 꽤 보였다.

단 한 명의 절대주의인 러시아 화가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여러 모양의 도형들로 완성한 모나리자를 선보였다.

미니멀리즘 조셉 코수스의 작품 속 모나리자는 단순한 검정과 글씨만으로 표현되었다.

바실리 칸딘스키의 모나리자는 색의 조화와 리듬에 관심이 많아서 여러 가지 도형을 이용해서 음악 선율이 느껴지게 그렸고,

구성주의 블라디미르 타틀린의 작품 속에는 모나리자의 신비스런 미소를 살짝 엿볼 수 있어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다.

거리 미술 장 미셸 바스키아는 현대적인 모나리자를 완성했다.

그 포근하고 신비스럽던 모나리자의 미소가 작가가 바뀌면 이렇게 무시무시한 분위기를 풍길수도 있구나 싶어서 놀라운 작품도 있었다.

표현주의 오토 딕스의 모나리자 미소는 왠지 사악하게 느껴진다.

또 다른 표현주의 프란시스 베이컨의 작품은 무섭다기보다는 무척이나 어두워 보인다.

추상 표현주의 윌렘 드 쿠닝의 모나리자는 좀 외계인스러운 분위기라고나 할까?

이렇듯 각자의 화풍과 그림 스타일에 따라서 천차만별의 모나리자가 완성되었다.

그림을 보면서 설명을 읽어 보면 그 작품이 이해가 된다.

역시 아는만큼 보인다는 말은 확실히 맞나보다.

우리 아이에게 모나리자를 그려 보라고 하면 과연 어떻게 그릴까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