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를 찾습니다! 인문 그림책 12
주강현 글, 김형근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태는 참 친숙한 생선이다.

명태, 생태, 동태, 북어, 황태, 노가리, 코다리......

이렇게 이름이 다양한 만큼 우리들의 밥상에 자주 올라오는 생선이어서 가히 '국민생선'이라고 책에서는 말한다.

어렸을 때만 해도 동태찌개나 북어국, 그리고 북어조림은 자주 밥상에 올라왔던 생선이다.

명절이 되면 차례상에 당연히 올렸던 동태전도 물론이고.

하지만 지금은 시장에 가 보아도 국산 동태는 찾아볼 수가 없다.

왜 그런것인지 아이들과 함께 이 책을 읽으면서 명태를 찾아보았다.

일단 명태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명태가 알을 낳으면 순식간에 주변이 전쟁터로 변한다는 말에 아이들이 놀라워한다.

명태라고 불리게 된 기원을 읽더니 좀 어이없어 하는 듯한 표정의 아이들을 볼 수 있었다.

명태를 잡는 기술이 낚시에서 다양한 그물로 발전해감에 따라 어마어마한 양을 잡았다고 한다.

배 한 척에 1만 마리에서 2만 마리까지 잡았다고 하니 정말 엄청났다.

아이들도 입을 쩌억 벌리면서 '산태'라는 말에 공감했다.

이렇게 산처럼 잡힌 명태들은 깨끗하게 손질된 다음 두메산골로 보내졌다.

바로 덕장에 걸려서 한겨울 내내 말려지기 위해서다.

이제 북어가 된 명태들은 전국으로 팔려 나갔고 심지어는 돈 대신으로 사용되기도 했단다.

고사를 지낼 때 절을 받기도 했던 북어는 이제 동해안에서 사라져 버렸다.

일본에서 도입된 저인망, 그리고 자망때문에 씨가 말랐고,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 살기 힘들어졌다.

바닷물 1도의 변화는 물고기한테 몸이 데일 정도의 크나큰 변화라는 말에 아이들이 상당히 놀라는 듯 했다.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물고기들에게는 곧 죽음을 뜻할만큼 위험하다고 한다.

그런데 시간이 흐를수록 수온은 올라가고 있다고 하니 정말 명태들에게 있어서 얼마나 위험한 상황이 되고 있는지 짐작이 간다.

'명태가 다시 돌아올까요?'라는 질문에 일초의 망설임도 없이 '아니오'라고 대답하는 아이들의 모습이 서글펐다.

명태뿐 아니라 다른 물고기들을 위해서도, 사람들을 위해서도 지구온난화라는 거대한 문제를 꼭 극복해야할텐데 정말 걱정이다.

화려하진 않지만 소박한 그림으로 멋스러운 책을 읽으면서 명태가 돌아오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