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보따리, 한글을 지키다 - 주시경과 호머 헐버트의 한글 이야기 ㅣ 토토 역사 속의 만남
안미란 지음, 방현일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모임 감수 / 토토북 / 2018년 4월
평점 :
한글!
자랑스러운 우리 글이다.
하지만, 말로만 그리 할 뿐 우리 국민들의 한글에 대한 사랑은 그다지 커 보이지 않는다.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선호하는 경향은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물론 시대적인 흐름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한글에 대한 사랑을 키우고 더 다양하게 사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리라 본다.
그런 의미에서 어려운 시대에 한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두 인물을 만날 수 있는 이 책이 소중하다.
우리가 다들 알고 있는 주시경과 잘 몰랐던 인물 호머 헐버트.
외국인이 한글 수호에 앞장 섰다는 책을 읽으면서 나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 보게 된다.
주시경은 우리가 지금 부르는 '한글'이라는 이름을 붙인 인물이다.
제목에 주보따리라 쓰여진 걸 보면 알 수 있듯이 주시경은 항상 많은 물건들을 보따리에 담아서 들고 다녀서 그리 불렸다고 한다.
호머 헐버트는 주시경의 스승으로 한글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보여준 인물로 한글학자이다.
시경이 친구 평복을 따라 가서 처음으로 만난 서양 사람 헐벗.
평복은 그에게 우리말을 가르치고 있었다.
몇 년 후 배재 학당에서 헐벗이 우리글로 쓴 <사민필지>를 읽고 우리글 연구에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한다.
헐벗의 배려로 낮에는 공부하고 밤에는 일하면서 우리말에 대한 공부를 하게 되고,
서재필을 만나 <독립신문>을 펴 내게 된다.
그 과정에서 띄어쓰기와 맞춤법 규정에 관해 고민하다가 우리말 사전에 대한 소망을 품는다.
완성한 <대한 국어 문법>
글에는 그 나라에 관한 모든 것이 담겨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에 의해 우리말 교육이 금지되었던 때에도 주시경은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었고 우리말에 대한 그의 열정은 커져만 갔다.
추방당한 헐벗은 우리 나라가 해방을 맞이한 후에 들어와서 결국 우리 땅에서 숨을 거두었고 결국 이 땅에 묻혔다고 한다.
코리아에 대한 그의 사랑이 얼마나 대단하지 알 수 있는 한 부분이다.
우리는 한글을 쓰는 데 막힘이 없는 삶을 살고 있다.
우리 의지로 덜 쓰는 것 뿐이지, 사용을 규제하는 대상은 없다.
편안한 조건이라 그런지 한글에 대한 강한 애정을 느끼는 사람은 드물지도 모른다.
하지만, 주시경이나 헐벗같은 사람들이 없었다면 우리네 한글이 조금은 다른 모습으로 변해있을지도 몰랐던 것이 현실이다.
그 분들의 목숨과 바꾼 한글에 대해서 우리가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 지 생각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