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닷가의 모든 날들 - 둘리틀과 나의 와일드한 해변 생활
박정석 글.사진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보자마자 알았다. 여기서 설지 않는다면 마음의 평화를 얻기란 영영 불가능 하리라는 것을 거기서 살기로 했다.
박정석이라는 이름은 전작인 <하우스>라는 작품을 통해 알게되었다. 물론 그 작품을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서울에서 태어나고 서울에서 자란 서울토박이가 풍요롭고 편리한 삻을 포기하고 우연히 찾아간 동해안 마을에 반해 그곳에서 직접 집을 짓는 과정과 에피소드를 그린 작품으로 그때는 괴짜로만 생각했고 나와는 별 상관없는 일이라 관심밖이었건만 <바닷가의 모든날들>을 통해 만난 박정석은 괴짜를 넘어 사람냄새를 알고 사람냄새나는 그녀를 통해 만난 시골생활은 어릴적 아련한 추억을 되살려 주었다.
호기심과 마음의 휴식을 위한 여행이 아닌 삶의 모습은 <바닷가의 모든날들>은 거창하거나 화려함이 아닌 둘리틀과의 와일드하면서 소박하고 소소한 일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시골장터구경, 산딸기 따고, 닭장 짓기가 거대한 과제라도 되는듯 만들어 닭기우고 부화시키기 까지. 거기에 빠질수 없는 개팔자가 상팔자라는 말이 절로나오는 이달과와 티격태격 그리고 이별후 새로만난 개다운 사요리 키우기. 그야말로 맛깔스러움과 위트있는 글로 입맛을 돋군다. 그리고 중간 중간 삽입된 사진속의 풍경은 양념으로써 맛을 더하였다.
철썩철썩 파도소리, 통통통통 고기잡이배, 부우웅~ 기적소리, 친구들과 조개줍기 등은 섬에서 나고 자랐으면서도 바다와는 가깝우면서도 먼곳이었기에 일년에 봄, 가을 소풍때나 그곳에 가는게 고작이었다. 그래서일까 그때는 소중한 기억과 추억을 박정석 작가가 얘기하는 바닷가의 삶은 나를 그립고도 아련하게 그때의 시절로 이끌었다. 그녀의 삶을 보면서 단순히 바닷가 풍경 감상이 아닌 새로움을 찾아내고 그곳 사람과의 융화는 물론 하나가 되어가는 모습은 앞으로도 몇년은 혹은 그이상 그곳에서의 생활을 포기하지 못할것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언젠가는 그녀처럼 이름모를 바닷가 한귀퉁이에 나만의 하우스를 만들지 모를일이고 그때는 박정석이 아닌 ***이름으로 <바닷가의 또다른 날들>로 여백을 채우지 않을까하는 희망사항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