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에 걷다 ㅣ 노블우드 클럽 4
존 딕슨 카 지음, 임경아 옮김 / 로크미디어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일본미스터리 소설이 아닌 작품을 만나게 되었다.
존 딕슨 카 물론 이름은 들어보았지만 그의 작품을 읽은건 <밤에 걷다>가 처음이다.
'당신이 존 딕슨 카를 모른다면 마땅히 이 책을 읽어야 한다'라는 문구가 나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무엇이든간에 처음은 아주 중요하기에 카의 첫번째 작품이기도 하고 나 또한 카의 작품은 첫번째이기에 기대감을 가지고 책을 받아들였다.
이야기는 이렇다. 만능 스포츠맨으로 유명한 살라니 공작에게 죽음의 예고장이 도착한다. 살인 예고 당사자는 현 약혼녀인 루이즈의 전남편 로랑. 그로 말할것 같으면 살인에 광기로 자신의 아내 루이즈를 살인하려다 미수로 그치고 정신병원에 감금되어 있었으나 루이즈의 약혼소식을 접하고 병원에서 탈출한 상황이기에 한시라도 눈을 뗄수없는 상황에 놓여있었다. 그리고 결혼식 당일 수사의뢰를 받은 방코랭 감시하에 벌어진 클럽 카드룸의 밀실살인. 도저히 탈출할 공간도 시간도 없는 상황에서 죽음의 예고는 현실이 되어 버린다.
미스터리물을 읽으면서 항상 느끼는 것 하나는 이들에게는 살인이 참 쉽다는 것이다. 누구누구는 바퀴벌레 한마리도 죽이기 수없이 망설이는 판에 한생명을 죽이는데 생명의 소중함보다는 자신들의 사리사욕을 채우기에 급급한다는게 그리고 그 욕심을 정당화 시키려 하는 인간의 숨겨진 추악함에 치를 떨게 한다. <밤에 걷다>에서도 마찬가지도 첫번째 살인을 시작으로 살인은 계속되어지고. 그 살인 뒷면에는 실타래처럼 얽히고 설킨 인간의 이기심과 추악함.
<밤에 걷다>의 실질적인 주인공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는 방코랭.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이틀을 넘기지 않는다는 유능한 경시청 총감이다. 그리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화자인 나 제프로 마치 셜록홈즈와 왓슨이 연상되어지는 인물들이었다. <밤에 걷다>는 셜록홈즈의 프랑스판이 아닐까 싶다. 방코랭은 홈즈, 왓슨은 제프 그렇지만 홈즈와 왓슨같이 방코랭과 제프는 매력적이지 못했다. <밤에 걷다>는 밀실살인이라는 흥미로운 소재를 가졌지만 그시대에서는 독창적이겠지만 현재로서는 구식이 되어버린 소재이고, 초반에 이미 범인이 누구인지 감을 잡아버린 상황에다 장황한 설명으로 인해 마지막은 좀 지루하다 싶게 마무리가 되어버린다. 더욱이 로랑이라는 광기어린 인물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는게 가장 아쉽게 다가왔다.
잠깐 다른얘기를 하자면 어릴적 셜록홈즈의 광팬이었다. 그 시리즈를 전부 읽었다고는 할수 없지만 기회만 되면 찾아읽으면서 홈즈의 추리에 혀를 내둘렀드랬다. 그러나 최근 다시읽은 홈즈는 왠지 그때 읽었던 그 감정이 되살아 나진 못했다. 셜록홈즈는 옛등장인물이고 나는 현재를 사는 사람의 차이라고 할까. 추리소설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기에 최근 작품을 자주 접한 사람으로써 왠지 어설프다고 할까 체계적이지 못하다고 할까. <밤에 걷다>도 셜록홈즈에서 느낀 그 아쉬움이 답습되어버린 작품으로 1930년에 발표된 작품이고 나는 2009년 7월에 접하게 되었다. 80년에 가까운 갭을 단숨에 뛰어넘기에 다소 무리가 아닐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