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몽의 엘리베이터 살림 펀픽션 1
기노시타 한타 지음, 김소영 옮김 / 살림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 멈춰버린 엘리베이터. 악몽은 이미 시작되었다.

처음 『 악몽의 엘리베이터 』라는 제목과 함께 이순간 엘리베이터가 멈춰버린다면? 우연을 가장한 운명적인 만남? 드라마속에서나 나오는 단골 메뉴이니 기대도 하지 않는다. 폐쇄 공포증? 그 상황에서는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라면 오히려 그사람이 이상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절대절명의 순간에 내게 있어서 가장 큰 공포와 악몽 1순위란?                                     유달리 과민한 장을 보유한 관계로 그저 얌전한 상태로 계속 유지되기만을 바랄뿐이다.  물론 엘리베이터고장은 흔히 일어나는 일도 아니고 지금껏 내가 탄 엘리베이터가 고장난 적은 없지만  다른 상황에서 자주 발생하는 일이니 그야말로 절대절명의 이 상황을 배제할수는 없는일. 

오도가도 못하는 밀실에서 장이라도 탈이난다면 그것만큼 끔찍한 악몽이 또 있겠는가. 상상만으로도 아니 상상하기 조차 싫지만 엘리베이터를 탈때마다 내 뇌리를  스쳐지나 가는 생각은  '제발 멈추지 말고 쭈욱~~가거라'이다. 고소공포증도 있겠다. 왠만해서 고층이 아니고서야 시간이 좀 지체되더라도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 엘리베이터를 잘 이용하지 않는 한 사람이다.

그런데 책의 마지막 해설을 읽으면서 이토록 동질감을 느껴본적은 없었다. 어쩜 구구절절  내 모습과 오버랩 되던지 그 상황을 겪어보지 안은 사람에게 이렇게 말해주고 싶다.                                    "니가 장탈을 알아! "

내가 상상하는 악몽과 같은 상황에 다른 악몽을 맛보고 있는 한 사내가 있다. 만삭인 아내의 진통이 시작되었다는 다급한 소식을 접하고 엘리베이터를 타자마자 자신에게 가해진 강한 충격.         기절상태에서 눈을 떠보니  자신도 모르는 새에 고장나 멈춰버린 엘리베이터안에 덩그러니 놓여있다.  더욱이 오가와 외에도 범죄자의 냄새가 풀풀 풍기는 중년남자, 메뚜기를 꼭 닳은 오타쿠로 보이는 남자,  연령 미상인 마녀를 연상시키는 여자, 이렇게 4명은 엘리베이터라는 밀실안에 갇혀버리는 신세가 되었다. 설상가상 어찌된 영문인지 휴대폰도 시계도 온데간데 사라지고, 오가와 뿐만 아니라 일행 또한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자신의 2세가 태어나는 상황에서 연락조차 할수 없고 시간이 몇시인지도 알수 없는 이 상황이야말로 오가와에게는 공포 그자체 악몽의 엘리베이터일수 밖에 없다.  그런데 좀 수상하다. 앞뒤가 맞지 않는 어긋남, 갇혀있는 세사람의 면면이 수상쩍다. 의심과 함께 한사람 한사람 정체가 밝혀지면서 이야기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간다.

여기가 끝이겠지 하면 또다른 방향으로 턴을 하고 다음이 끝이겠지 하면 또 다른 반전을 제시하니 애시당초 이책의 제목만 보고 <큐브>를 연상했다면 크나큰 오산.
악몽?분명 악몽이 분명한데도 이 심각한 상황이 전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지 왜인지 헛헛한 웃음과 함께 공포영화가 아닌 블랙코미디 같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악몽의 엘리베이터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 순간  '이 책은 연극을 하면 정말 잘 어울릴것이다 이다. 그리 연극을 자주 접한건 아니지만 큰 무대가 아닌 자그마한 소극장 한켠에 마련한 엘리베이터를 본따 만든 무대장치. 등장인물 4명, 조연 2명, 그리고 100여명 남짓의 관객과 함께 만들어 가는 연극한편. 어쪄면 극작가이자 '팀kgb극단을 이끌어가는 기노시타 한타의 프로필을 먼저 접하였기에 자연스레 연상되었을수도 있겠지만  지금 이순간 느끼는 바로는 공간적인 배경안에서 극이 전개된다면 제대로 맛을 볼수 있을것만 같은 소설이이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