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벽대전 1
스제펑 지음, 차혜정 옮김 / 북스토리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많은 사람들은 삼국지는 읽어보지 않았지만 유명한 적벽대전은 알것이라고들 말한다. 그렇지만 나는 삼국지도 읽어보지 않았을뿐더러 적벽대전이라는 말도  ^ ^  동생이 영화 <적벽대전>을 보고왔다는 말을 들었을때에 비로소 기억하게 되었다는 사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삼국지를 온적히 완독한적은 없다. 어릴적 옆집 언니가 꼭 읽어보라고 그렇게도 권했건만 언니의 책은 가로가 아닌 세로 쓰여진된 문장이라 익숙하지 않고는 쉽게 빠져들지를 못해 그대로 접어버렸던게 가끔은 후회가 되기도 하지만 그당시 나에게는 어린이 만화영화로 방영되는 만화 삼국지가 있었고  기타 여기저기에서 삼국지에 대한 얘기는 주워들을 기회는 많았기에  책으로 보는 삼국지에 미련이 있을리 만무하였다.  

영화도 나왔겠다. 원작이 출간된다는 소식에 반가웠다. 한번쯤은 읽어보고 싶지만 그 방대한 양에 선뜻 도전하기가 망설이던 터라 삼국지라 너무나 유명한 전투 적벽대전만 축약해 놓은 작품이라고 하니 기대치도 높을수 밖에....,

영화가 온전히 적벽대전 전투에 치중하였다면 원작 <적벽대전>은 형주와 동오가 동맹을 맺기전 동맹을 맺어야만 했을 초석 부터 쓰여져 있다.  계속되는 패배로 인해 갈곳없는 신세가 되어버린 유비가 형주에 몸을 의탁하고 삼고초려 끝에 제갈량을 만나고 다시금 힘을 길러가면서 포부를 다져간다. 하지만 갈수록 강대해지면서 호시탐탐 형주와 동오를 노리는 조조에게는 바람앞에 촛불격이니 동오와의 동맹 만이 살길이었다. 물론 동오도 마찬가지인 상황이니만큼 동맹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수 있다. 너무나 뛰어난 제갈량의 고육지계와 주유의 연환계로 조조진영에 혼란을 야기시키고 더욱이 동남풍이라는 기후까지 더해서 불가능해 보였던 적벽대전을 승리로 이끈다는 내용이다.  

영화가 아닌 스제펑의 <적벽대전>에 적잖이 실망스러웠다. 차라리 영화보다는 원작을 먼저 읽었더라면 이 생각은 뒤집어 질수 있었겠지만 왠지 인물들이 기존에 내가 알고 있던 인물들과 다소 차이를 보임은 물론이거니와 유비가 왜 대단한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장부라면 야심과 포부를 들어내는 건 당연하겠지만 왠지 검은 속내만 훔쳐보았다고 할까. 각각의 인물들을 표현하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하였다고 생각되어진다.   물론 순수하게 혼자만 느끼는 영화와 원작과 그리고 기억속의 인물들과의 괴리감 때문이기도 할것이다.  아무리 영화와 원작이 상당부문 다르게 표현된다지만 인물의 성격이나 주변상황을 영화의 흐름에 맞게 너무나 다르게 각색해 놓아서  인지 영화속에 주유의 성격이나 품성등이 참으로 맘에 들어 주유의 팬이 되어 있던 나에게 책에서의 주유는 oh, no!  이때문에 적벽대전을 읽는 내내 동생을 얼마나 귀찮게 하였는지 원래 주유가 성격이 이러하냐는둥, 조자룡이 유비를 배신하는거 아니냐는둥, 유비가 이렇게 유약한 인물이냐는둥  참으로 많이 혼동되어  힘들게도 읽어나갔다. 

책에서의 적벽대전이라는 대전투의 스케일리 상상되어 지질 않는다. 이 부분도 책을 먼저 읽었어야 했을법 하다. 스케일 큰 영화를 보고나니 고육지계나 연환계 그리고 최후의 전투를 A4용지만한 책에 옮겨놓았으니 역동성이 다소 떨어지는것은 당연할 것이기에 이점은 패스 하겠다.

<적벽대전>에게는 많이 미안한 감정이다. 개인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 만난 책이라 온전히 빠져들지 못해 띄엄띄엄 읽다보니 오히려 더 뒤죽박죽이 되어버렸다. 그렇지만 이점은 확실히 하고 넘어가야 겠다. 아직 영화를 보지 않았거나 삼국지를 읽지 않은 사람은 영화보다는 책을 먼저 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렇지 않는다면 양조위가 진짜일거라 착각하기 쉽상이다. 

왠지 창피하다는 생각마저 들기도 하였지만 부랴 부랴 영화부터 챙겨보기 시작했더랬다. 나름 영화는 괜찮았다고 생각되어지지만 개인적으로는 1편- 거대한 전쟁이 더 재미있었고. 이런 스케일이 큰 영화는 역시 극장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  어영부영 넘어가버려 자그마한 컴퓨터 화면으로 보고 있자니 몰입이 더디었던게 아쉬울 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