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곡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8
누쿠이 도쿠로 지음, 이기웅 옮김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녀가 만나 가정을 이루어 완성되기 까지에는 자식이란 필요 충분 조건이 아니라 부모에게 있어서 생명줄과도 같은 불가분의 소중한 존재이기에 자식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한생명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생명줄을 잃은 부모의 목숨까지도 앗아가는 연계살인을 저지르는 것과 같은 일이다. 그러기에 아동범죄의 무게는 그 어떤 범죄보다도 무겁고 또 용서받지 못할, 용서받아서는 안될 잔혹한 범죄인것이다. 그러나 지금껏 여전히 자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에도 국민들을 경악케 하는 유사한 사건으로 충격으로 몰아넣는 사건이 있었다.  

비단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통곡처럼 가까운 일본을 비롯해 전세계 곳곳에서 자행되고 있다는 사실이 비통할 뿐이다. 내가 아직 부모된 입장이 아니듯 자식을 잃은 부모의 입장이 되지 않고서는 물론 되어서는 아니되겠지만 아픔의 깊이를 이해한다고 말하는 것은 교만일 것이다. <통곡>은 아픔의 무게 뿐만 아니라 그야말로 통곡할수 밖에 없는 부모의 심정을 이해할수 밖에 없게끔 만들어버리기에 너무나 슬픈 소설이다. 

두남자가 있다. 한남자 마쓰모토는 딸을 잃은 슬픔의 구렁텅이 속에서 하루하루를 자포자기하면서 살아가던 그에게 신흥 사이비 종교의 유혹에 손길이 뻗쳐오면서 절망이 희망을 바뀌어 간다. 또 한남자 사에키는 캐리어라는 명함과 경찰청 장관의 사위라는 든든한 후광속에 앞길이 탄탄대로인 수사과장으로 유아유괴살인사건을 맡게되지만 범인에 대한 실마리는 잡히지 않고 진척없이 제자리만 맴돌 뿐이다.  

이 두남자를 중심으로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듯 서술되어 지는데 두시점이 교차되는 방식은 일본 장르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전개방식이기에 그리 특별하다고는 할수 없다. 그러나 무엇하나 튀기보다는 일관성있게 자기만의 스타일을 고수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로써 저자는 차분하면서도 과장되지 않는 담담한 어조로 덫을 놓으므로써 나를 함정에 빠뜨려 버린다. 뻔한 전개 뻔한 결말로만 치부해 버린 나에게 놀라운 반전? 아니다. 반전의 기발함보다는 지독한 반전의 쓴맛을 보게 만들었다. 씨실과 날실이 만나는 지점에서야 비로소 왜 통곡이어야만 하는지 통곡할수 밖에 없는지를 깨닫는다. 

누쿠이 도쿠로는 일본을 경악시킨 희대의 범죄, 유아 네명을 참혹하게 살해한 미야자키 쓰토무 사건을 모티브로 <통곡>을 완성시켰다. 허구가 아닌 실제 사건을 다루었다는 점이 더욱더 감정적으로 동요할수 밖에 없었다. 최근에도 비슷한 소재를 다룬 글을 읽었지만 비록 유쾌하게 풀어나간 책이라 할지라도 유쾌하지만은 않다. 껄끄럽고 위화감이 든다. 현실이라는 점이 슬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