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 책
클라이브 바커 지음, 정탄 옮김 / 끌림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모두가 피의 책이다. 어디를 펼치든 모두 붉다.

<피의책>은 총9편의 단편으로 구성된 단편집이나 전체가 첫번째 단편 <피의 책>등장하는 죽은자들을 불러 낸다는 영매를 사칭한 한 남자가 죽은자들의 분노로 인해 그들의 응징의 대가로 그들이 살아 생전 하지 못한 이야기들을 남자의 육체에 새긴 글로써 8개의 단편들은 모두 피의 책의 맥닐의 몸뚱이에 피로 쓰여진 글들을 한편한편 풀어낸 이야기들이다. 

사람은 보통 자신들의 이해 범위를 넘어선 정체를 알수 없는 것을 두렵다고 생각한다. 영화에서는 공포스러운 장면을 볼때면 놀라기는 하지만 놀라는 순간 상상력은 거기에서 끝맺어버린다. 그이상은 놀라움과 괴기스러움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책을 읽을 때는 또다르다 놀라움보다는 긴장감과 쾌감이 존재한다. 머리속에서는 수레바퀴처럼 상상이라는 감정은 계속 돌아가기 때문에 두려움이 라는 감정은 한층 더 도사리게 된다.
바로 이점을 클라이브 바커는 파고들어 글로써 표현하였기에 탁월하다고 말하고 싶다.

첫번째 <피의 책>까지는 괜찮았다. 두번째 지하철이라는 폐쇄적인 공간에서 인간을 정육점에 고기들처럼 도살하는 살인자와 살인자가 된 사나이가 등장하는 <미드 나잇 트레인>을 읽고 난후 더이상 읽어 나갈수 없을 만큼의 공포를 느꼈기에 책을 덮었다. 그리고 다시 도전 하기 까지 수없는 망설임이 있었다.
하급악마와 집주인이 등장하는 <야터링과 잭>부터 공포섬을 다룬 <스케이프 고트>까지 인간의 내면에 숨겨진 음밀한 욕구, 열망과 관음적 성향, 남들이 다 얘기하는 전형적인 공포이야기에다 유머스러움 가미하기까지한 기발함과 상상력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거기에다 너무도 사실적인 묘사까지.

스티븐 킹은 " 나는 호러의 미래를 보았다. 그의 이름은 클라이브 바커다"라고 격찬을 했다. 비록 내가 이 한권의 책으로 저자의 역량을 파악하기란 힘들다. 그러나 정말 공포맛을 보여준것만은 자신한다.
나는 지금 어둑어둑 해지는 창문을 바라보기 무섭다. 마치 어린시절 화장실가기 무서워하는 어린아이가 된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