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녀의 무덤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15
제프리 디버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그 유명한 '링컨라임 시리즈'는 한편도 접해본적이 없지만 제프리 디버를 세계적인 셀러로 입지를 다지게 만든 작품이라는 정도는 익히 알고 있는 바이다. <소녀의 무덤>은 디버의 독립형 스릴러로서 정교한 플롯, 속임수와 반전, 서스펜스등 디버만의 스타일을 확립한 첫번째 작품이다. 링컨라임의 어머니격인 작품이라니 아직 저자만의 스타일을 구체화 시킨 작품이라고는 하나 왠지 헛점이나 미숙함이 눈에 많이 띄지는 않을까 더욱이 인질범과 협상가와의 두뇌싸움이라고 하니 인질범은 자신의 요구사항만 관철시킬려고 할것이고 협상가는 어떻게 해서는 인질들을 구하려 할것이고 페이지도 600페이지가 넘는데 이거이거 지지부진하고 지루함을 안겨주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을 않고 책을 읽어 나갔다. 그러나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오랜만에 괜찮은 작품을 읽었다라고 자신한다. 주체가되는 인물외에도 주변인물들의 내적갈등은 물론 갈등을 유발시키는 요소인 이기주의자와 기회주의자, 과열주의자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함으로써 긴장감을 한층 고조시키기에 지루함을 잊은채 읽어나갔다.
"여덟 마리의 회색 새가 어둠 속에 앉아 있네 찬바람은 매섭기만 하다네"
마치 앞으로 닥칠 불행의 예고장과도 복선을 깔고 <소녀의 무덤>은 시작된다.
교도관을 살해한 3명의 탈주범은 8명의 청각장애인 학생과 2명의 교사를 납치함으로써 인질범이라는 죄목을 추가하게 되는데 인질들을 데리고 그들이 찾은곳은 이름만 들어도 피비린내가 진동할것 같은 죽음의 장소인 도살장이었다. 이곳이 인질범의 리더 루핸디와 베테랑 협상가 아더포터와 더불어 인질인 멜라니가 12시간의 치열한 사투를 벌여야할 전장이며 소녀의 무덤이 될 전장이다.
책을 읽으면서 미국드라마 중 "24시"라는 드라마가 연상되었다. 24시간동안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으로 시간과 분단위로 구분하여 시시각각 시점을 달리하여 마치 막다른 골목에 쥐를 몰아넣은 듯 긴박감과 함께 초조함을 유발시켰던 작품이었는데 <소년의 무덤>도 1분 1초를 허비하여서는 안되는 인질극이다보니 시간과 분단위로 나뉘어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는것과 같이 인질범인 루핸디, 인질인 멜라니, 그리고 협상가인 아더포터의 시점으로 극의 변화를 줌으로써 각자의 입장과 내면의 심리묘사 뿐만 아니라 지루함과 늘어짐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한순간도 책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끔 잡아둔다. 거기에 반전 또한 탁월하다. 물론 읽어나가면서 개운치 않은 무언가가 손톱에 가시처럼 박혀있었지만 그 가시가 여과없이 반전으로 표출되어진다.
인질극을 소재로 한 영화나 소설들은 수없이 많다. 그러나 하나같이 인질범과 경찰 혹은 협상가가 벌이는 수사과정이나 범인의 행적등이 주체가 되고 정작 중요한 인질들은 배제되어 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등장을 하더라도 사건에 에피소드 격으로 단지 한낱 물건 취급한다는 것인데 누군가 구출해 주기만을 바라는 이 과정에서 인질범과 동화되어 스톡홀름 중후군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소녀의 무덤>은 이 증후군을 방향 전환함과 동시에 자연스레 인질인 멜라니는 부각되어지고 수동적이 아닌 유동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여는 인질극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그러나 증후군에 종말은 어떨까. 스포일러가 될 우려가 있겠지만 그 끝은 작위적인 냄새가 강하지만 최근 읽은 스릴러 중에 손꼽는 작품이었다는 것과 명성은 그냥 생기는 것은 아닌가 보다라고 실감하게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