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와일드 환상동화
오스카 와일드 지음, 이은경 옮김, 이애림 외 그림 / 이레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오스카 와일드 환상동화>를 내손에 받은 순간 색다른 포스를 내뿜고 있는 표지와 디자인을 보면서 기대감과 충만감은 이루 말할수가 없었다. 몇명의 명언들을 접한것 빼고는 오스카와일드라는 인물은 나에게 너무나 생소한 사람이었기에 더욱이 동화로 처음 만난다는 기대감에 무척이나 설레었던것도 사실이다. 동화책이라고는 하는데 전혀 동화책같지 않은 분위기를 풍기는 책이라니....
더욱이 '환상이 모든 쾌락의  으뜸이다'라는 문구는 과연 동화에서 환상을 넘어 쾌락을 느낄수 있나?라는 의문과 궁금증을 유발시키는데 '뭐 어때 읽다보면 알수 있겠지!'라는 생각으로 책장을 펼쳐보았지만 나는 아직도 그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책에 실린 9편의 동화가 실려있다. <별아이>부터 <행복한 왕자>까지 하나같이 기존에 내가 느끼고 바라던 동화의 기준에 대한 환상을 깨뜨리고도 남을 이야기들이다. 환상동화라기 보다는 잔혹동화에 가까운 현실동화가 아닐까 싶다.
<별아이>의 결론을 살펴보자면 대개는 "~ 가난한 자에게는 빵을 나눠주고 벌거벗은 자에게는 옷을 나눠주어 그 나라는 평화와 번영으로 충만했다"로 끝나야 하는 것이 정석인것을 "오랜 시험과 시련으로 삼년만에 그는 세상을 떠나고 뒤이어 왕위에 오른 자는 사악하기 그지 없었다"라니 쾌락은 커녕 비극이 아닌가. 
나에게 가장 씁쓸함을 안겨준 동화는 <행복한 황자>이다.
힘들고 고통받는 자들을 위해 아름다움을 포기해야 했던 왕자와 제비의 죽음이거늘 그 모습이 초라해졌다고 "이제 동상은 아름답지 않으니 쓸모도 없습니다"라는 말은 동화라기 보다는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사회의 모습을 대변하는 것 같아서 씁쓸함을 안겨주었다.
그밖에 7편 모두 인간의 이기심과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허영과 교만에 대한 조소로 가득하였고 결말은 해피엔딩이 아니라 비극이라는 점이다. 
 
무릇 겨울이 지나면  파릇파릇 새싹이 돋아나는 봄이 오느것이 자연의 이치이듯이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동화 대다수는 인과응보, 권성징악, 해피앤딩으로 결론을 맺어왔고 맺기는 바라는 것이 동화의 형식이었다.
그러나 <오스카 와일드 환상동화>의 결말은 겨울이 가니 또 겨울이 오는 결말에 춥고 음습하고 너무나 현실적이라서 씁쓸함만을 남겨준다. 거기에다 중간중간 삽입되어있는 일러스트는 글을 통해 미쳐 깨닫지 못한 감정의 연장선으로 안그래도 어두운 마음을 더욱 어둡게 만드는데 한몫을 한다는 것이다. 
 
오스카 와일드가 나에게 생소한 인물인것처럼 동화 또한 너무나 생경하였기에  좋았다. 싫었다라고 결론짓기가 어렵다.
이유는 형식을 파괴하는 그의 방식에서 비롯된다.
기존 내 머리속에 자리잡고 있는 인과응보와 권성징악을 기본 모태로 삼고있는 동화의 형식을 파괴하는 개혁파와 그래도 동화라면 "~~~그래서 누구누구는 행복하게 잘 살았습니다"로 결말이 지어졌으면 좋겠다는 보수파의 충돌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왕의 심정처럼 결론을 맺기보다는 앞으로 그의 작품을 한편한편 읽어나감으로써 나름대로 결론을 짓는것이 좋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