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첨론 - 당신이 사랑하고, 시기하고, 미워하는 사람 모두에게 써먹고 싶을 128가지 아첨의 아포리즘
윌리스 고스 리기어 외 지음 / 이마고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아첨론은 "아첨은 칭찬을 가르치는 학교다"를 전면에 내세운다. 내가 알고 있는 우리가 알고있는 아첨의 사전적 의미는 남의 환심을 사거나 잘 보이려고 알라거리는 것으로 부정적인 성향이 강한게 사실이다. 그런데 아첨이 칭찬을 가르치는 학교라니 아첨은 아첨일 뿐인데 아첨에 대한 견해를 180% 뒤집는 말이 아닐수 없다. 그러나 책을 읽다보면 처음 '아첨은 아첨일 뿐인데'라는 말이 자연스레 소멸되는 짐을 느낄수 있다. 아첨을 단순히 사전적 의미로만 해석한다면 그 말이 맞을지 모르지만 아첨의 다양한 측면과 복잡성을 이해한다면 아첨이 부정적인면만 가지고 있는것이 아니라 긍정적인면 뿐만 아니라 우리사회와 역사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필요불가분의 요소라는 것을 자연스레 인식되어 진다. 

 아첨은 노력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준비된 칭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즉석으로든 준비해서든, 노력한 사람에게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든, 대가를 기대하는 칭찬을 아첨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보상을 기대하는 칭찬이 아첨이라한다면 누구나 칭찬에 따른 보상을 기대하기 마련인데 이 마음을 아첨으로 치부해 버리기에는 부연설명이 부족한듯 하다. 만일 칭찬의 포괄적인 의미가 아첨이라 한다면 이해가 되겠지만 어릴적 칭찬을 받기위해서 무엇이든 열심이 였던 적이 있다. 아빠 구두를 닦아놓고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아버지의 모습을 기대하였고 덤으로 용돈을 받는다면 더할나위 없는 행복이었는데 이것이 아첨이란 말인가....책을 다 읽고 나서도 칭찬과 아첨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하기가 어렵다. 아니 구별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을 해본다. 

당신이 사랑하고, 시기하고, 미워하는 사람 모두에게 써먹고 싶을 128가지 아첨의 아포리즘.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보상을 기대하는 칭찬이 아첨이다를 시작점으로 본인 스스로에게도 아첨이 필요하며 아첨중에서 가장 탁월한 아첨은 자신에게 하는 아첨이라고 말한다. 아첨은 신뢰나 음모 등과 더불어 힘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즐겨 사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도구라 정의를 내림으로써  아첨의 필요성과 시기, 아첨하는 방법, 아첨의 상징물들, 아첨의 상대와 아첨의 위험성, 아첨의 영웅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아첨은 인간에게 국한되어지는 것이 아닌 우리가 숭배하는 신에게로의 아첨을 종착점으로 끝을 맺는다.  

지금껏 아첨하면 소위 말하는 간신배, 소인배, 출세지향형 인간들의 전유물로 여겨지는것이 통상적인 생각이었다. 그렇지 않은가 드라마, 영화등 우리가 접할수 있는 대중매체속에서 악인들, 혹은 권력자들 뒤에서 알랑방귀 뀌는 자들을 보면 자신 본위의 능력보다는 아첨으로 인해 대가를 얻으려는 자들일 뿐이다. 그 결과 그들의 말로는 명예롭기 보다는 불명예 일색이었다. 혹자는 아첨 또한 능력이라고 말하지만 글쎄 결과론 으로만 본다면 나는 거절하고 싶었다. 그러나 아첨론을 통해 아첨에 대한 부정적인 면만이 아닌 다각적인 측면에서 아첨을 본 앞으로는 아첨에 대해 좀더 유연하게 반응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