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끝에 만난 테메레르는 그 기다림에 보답이라도 하듯이 나를 또한번 테메레르의 매력에 빠져들게 하였다. 두근대는 마음으로 천천히 읽을려고 했던 마음과는 달리 흡인력으로 인해 5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을 그야말로 단순에 읽어나갔다. 지금껏 테메레르 총 4권중에 1권을 제외하고 이렇게 조마조마하고 아슬아슬한 마음을 가지고 읽었던적은 없었다. 나는 지금 4권을 읽은 이순간 다음권의 출간을 간절히 바란다. <테메레르-상아의 제국>는 크게 두 줄기로 이어져 나간다. 2편에서 언뜻 내비친 노예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되면서 로렌스와 라일리함장의 입장차이로 인한 불화는 물론이거니와 폭력적이고 상업적인 노예무역으로 인해 아프리카 식민지에 사는 용과 토착민에 의래 납치와 감금 그리고 반란이 한 줄기를 이루고, 또 한가지는 원인모를 전염병으로 인해 테메레르 일행의 치료약을 찾는 여행과 자국에 이익이라는 명목하에 전염병에 걸린 프랑스 용을 다시 프랑스로 귀환시면서 프랑스에 막대한 피해를 주기위한 계략은 결국 생명의 존엄성을 무시한 단지 용들을 소모품으로만 여기는 인간들의 이기심과 우월주의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 결과 테메레르와 로렌스의 분노는 치료버섯을 프랑스에 전달하면서 영국에 대한 배신 행위로 까지 이어지게 되면서 앞으로의 로렌스와 테메레르의 행복에 귀추가 주목된다. 4권은 노예무역이라는 치욕스런 역사를 들추면서 전반적으로 암울하게 전개되어질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 속에서도 테메레르의 식탐과 속상할때나 이스키에르카에 대한 질투심이 불탈때마다 반짝반짝 윤이 나게 닦는 테메레르의 모습은 상상만으로도 웃음이 절로 난다. 더구나 감초의 역할을 하는 이기심의 화신 이스키에르카와 식탐에서는 테메레르를 능가하는 야생용들, 인간이 환생한 모카찬용까지 곳곳에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들이 포진되어 있어서 4권을 더욱 재미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역시나 로렌스와 테메레르의 우정은 나로 하여금 질투심을 유발하지만 서로가 서로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쌓아가는 모습은 질투심이전에 본받아야 할 점이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좀더 심각하고 깊이가 있어야 할 부분에서 가벼이 전개되었다는 점이 아쉬웠다. 물론 개인별로 촛점을 어디에 두고 책을 읽느냐에 있겠지만 너무나 수월하게 풀어나간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아쉬웠다고 할수 있다. 지금 나는 너무나 불안하다. 이전 이야기들에서는 해결점을 찾는데서 끝맺었지만 4권에서는 로렌스와 테메레르의 미래가 너무나 불안하게 마무리가 되어진데다 하필 다음 5권의 소제목이 독수리의 승리다 보니까 프랑스가 영국을 이길것만 같고 로렌스와 테메레르에게 펼쳐질 고난이 걱정스럽기만 하다. 설마 로렌스를 죽음으로 몰아넣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는다. 지금 이순간 5권에 대한 기대치는 최고치에 달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