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민 -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지독한 감정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이온화 옮김 / 지식의숲(넥서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랑은 수학처럼 정답을 유추할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사랑속에는 수만가지 문제와 수만가지 정답이 존재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렇다면 수만가지의 감정중 하나인 연민이란 감정은 꼭 버려야만 하는 감정일까????
나는 연민도 사랑의 방식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인간에 대한 관심이 있기에 연민이라는 감정도 생길것이고 거기에서 발전을 하게되면 더할나위없이 좋을 결과를 낳겠지만 결과가 좋지 않다고 해서 꼭 사랑에서 버려야하는 감정이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지금부터 말하고자 함은 바로 감상적 연민으로 인한 지독한 상처를 남기게 된 호프밀러의 삶을 얘기하려 한다. 소위인 호프밀러는 주둔지인 한 헝가리 귀족집에 최대받게 되었다. 거기서 하반신 마비가 된 에디트에게 춤을 추자고 청하게 되고 그당시 그 사실을 알지 못하였던 호프밀러는 자신의 실수로 상처를 입었을 에디트를 달래기 위해 다시한번 저택을 찾아가는 친절을 베풀게 되는데 당시 자신의 작은 친절이 한 여인을 죽음으로까지 몰고가는 파급효과를 내게될지 예상하지 못하였다.
세상과의 소통이 단절된체 휠체어에 몸을 내맡기고 살아가던 에디트에게 그의 친절은 사랑이라는 폭풍속으로 거침없이 빨려들어가는 수순을 밣게 된다. 애초에 연민이라는 감정으로 시작되었던 밀러에게 그녀의 마음은 그저 부담감으로 다가오게 되고 결국 도피라는 방법을 선택하지만 그것또한 홀가분한 마음보다는 미안한 마음만 가지고 있던 밀러에게 주위의 권유는 다시한번 하지말아야할 선택을 강요되고 었지만 단순한 연민은 사랑이라는 감정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다시 그는 비겁한 도주를 선택하면서 그녀에게 더 크나큰 아픔을 남겨주었고 그녀 스스로 자살을 실행하게끔 만들어버린다.
언제나 잘못된 선택은 후회를 만들기 마련이듯이 다시한번 에디트의 사랑을 받아들이기로 하고 그녀를 찾지만 이미 이 세상사람이 아니라는 사실과 더불어 자책감으로 그는 전쟁이라는 도피처로 자신을 숨겨버린다.
소화불량이 걸린것 마냥 가슴이 답답하였다. 인간의 감정을 정확하게 답을 메길수 없다지만 밀러의 행동 은 짜증스러웠다. 그렇다고 전적으로 밀러에게 질책을 하는것은 아니다. 자신의 감정과는 달리 그당시 상황이 그를 도주를 선택하게 만든 한 요인으로 작용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무책임하였다. 도피라는 반복된 실수는 한 소녀의 감정에 대한 예의를 저버렸고 그 결과는 평생을 지고가야할 상처만 남겼다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에 책임을 져야한다. 사랑이 되었건 연민이 되었건 혹은 미움이 되었건 간에 스스로의 감정에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을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