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마지막 의식
이언 매큐언 지음, 박경희 엮음 / Media2.0(미디어 2.0)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 <어톤먼트>로 우리에게 익숙하게 다가온 이언 맥큐언.
그러나 나는 그영화 마저도 그냥 지나쳤고, <속죄>라는 원작은 책장에 고이 모셔져 있을 뿐이니
 '서머싯 몸' 상 수상작이라는 <첫사랑, 마지막 의식>이 이언맥큐언과의 첫만남이다.

미용실에서 머리를 하는 동안  무료한 2시간여 동안을 달래기 위해 책장을 펼치게 되었다.  무료함이나 달래려 했던 처음 의도는 온데간데 없이  마치 다른사람의 일기장을 훔쳐보는 기분이라고 할까 기대감과 죄책감 그리고 들키면 안된다는 두려움과 부끄럼이 한데 뒤섞여 나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시키기에 충분하였다. 혼란스러움과  마음을 가다듬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나니  내가 읽은 페이지라고는 달랑 32페이지 '입체기하학'을 읽은게 고작이었다. 
앞으로 가정처방을 위시로 가장무도회까지 나는 기대감과 한편으로 두려움에 책장을 넘긴다.

<첫사랑, 마지막 의식>은 정체성에 혼란을 겪으면서 스스로 다 자란 어른인체 하는 아이와 몸은 자랐지만 어느 한군데 뒤틀려서 정체성에서 다자라지 못한 어른들이 주체가 된다.
누구나 가슴 한구석에 꼭꼭 숨겨놓고 펼쳐보이길 두려워하는 폭력성이 내재되어있을 것이다.
바로 그 폭력성과 부조화, 위태로움,두려움 ,잔인함의 여러 모습들을 펼쳐 놓았다.
외로움과 무관심에서 오는 폭력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입체기하학과 나비는 간간히 뉴스의 일면을 장식하고 호기심에서 시작된 근친 강간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무분별한 사회현상으로 인해 과부하를 일으키는 오늘날의 청소년 문화의 폭력을  벽장속 남자와의 대화와 가장무도회는 고립이라는 폭력과 인간의 이중성을 표제가 되는 첫사랑, 마지막 의식은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여실히 보여준다.    
 
처음 이 책을 다 읽을수가 있을까 하는 부담감은 읽고 난후에 후련함으로 변해 있었다.
그만큼 읽는 내내 비현실적일것만은 소재는 어느새 현실이 되어 나를 옥죄이고, 스스로 대면해야 할 현실에 도피처를 찾게 만들었다.  어찌 이리도 담담하고 건조할까  시종일관 어느 한군데 치우침 없이 중심을 잡아가는 작가의 시선에 나는 쫓아 가는 건만으로도 숨이차고 버겁기 그지없다. 마치 길을 잃고 이러지도 못하고 엄마를 찾아나서는 어린아이가 되어버린것만 같았다. 

그야말로
한편한편이 완벽함으로 무장하였다는 것인데  저자는 도대체 어떤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길래 인간의 욕망과 추악함을 꼭꼭 집어 내는 것일까 
한 문학잡지인 '옵서버' 지가 '학교 선생처럼 생긴 사람이 글은 악마처럼 쓴다'고 평가하였다는 말에  나는 더욱더 이언 맥큐언이라는 작가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