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버 보이
팀 보울러 지음, 정해영 옮김 / 놀(다산북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는내내 부러움의 감정을 다스리느라 힘들었다.
제스와 할아버지의 서로에 대한 배려와 사랑을 보면서 얼마나 부러웠던지
나의 외할아버지는 내가 태어나기 도 전에 돌아가셨기에 얼굴도 알지못한다.
친할아버지는 어찌나 완고하신지 대하기 너무나 어려운 분이었던 기억뿐이다.
그래서 인지 할아버지가 우리곁을 떠날때도 제스가 느낀 감정에 반에 반도 나는 느껴보질 못했다.
단지 어려운 존재로만 느낀것도 있지만 내가 너무 어릴때의 일이라 죽음이란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을수도 있다.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이 있듯이 <리버보이>는 사랑하는 이를 영원히 잃어야 하는 상황에서 느끼게 되는 수많은 감정들 속에서 열다섯의 제스가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그려내었다.
건강이 악화되었는데도 할아버지는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기라도 하신것처럼 자신이 어릴적 자랐던 곳으로 휴가를 계획하고 제스와 부모님은 불안감에 휩싸이면서도 어쩔수없이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여행을 떠나게 된다. 한줄기 강. 고요하고 평화로운 그곳에서 제스는 한소년과의 만남을 통해 신비스러운 경험을 하게된다.
"인생은 흐르는 강물과 같다"고들 한다. <흐르는 강물처럼> 이라는 영화도 있지 않는가
조그만 샘에서 출발하여 개울이 되고 또다시 시내가 되고 그 시내가 모여 강을 이루고 마지막 으로 바다와 결합하게되는데 그 결합은 끝이 아닌 시작이며 안식이고 평안이다.
이렇듯 인간도 작은 생명체로 시작하여 유아기 소년기 청년기 그리고 노년기를 거치는 과정이 강이 바다를 만나는 과정과 동일시 할수 있다. 곧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 다고 해서 끝이 아니라 마음이라는 바다에서 추억이라는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
<리버보이>는 할아버지가 손녀 제스에게 주는 마지막 이별 예행연습이었다.
갑작스러운 이별을 통해 제스가 느낄 고통과 상실감을 덜어주기 위한 할아버지가 제스에게 주는 마지막 배려가 아닐까 한다.
지금 짧은 리뷰를 쓰면서도 뭉클함이 전달된다.
시종일관 강물의 흐름처럼 잔잔하게 진행되는데도 내 마음의 강에서는 강한 파문을 일으켰다.
리버보이가 주는 감동과 눈물은 " 해리포터를 제치고 카네기상을 수상"이라는 타이틀이 거짓이 아님을 증명하기에 충분하였다.
"삶이 항상 아름다운 건 아냐.
강은 바다로 가는 중에 많은 일을 겪어.
돌부리에 채이고 강한 햇살을 만나 도중에 잠깐 마르기도 하고.
하지만 스스로 멈추는 법은 없어. 어쨌든 계속 흘러가는 거야. 그래야만 하니까.
그리고 바다에 도달하면, 다시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날 준비를 하지.
그들에겐 끝이 시작이야.
나 그모습을 볼때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느껴" <p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