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자 X의 헌신 - 제134회 나오키상 수상작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3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현대문학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열대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더운 여름하면 추리나 스릴러물이 봇물터지듯이 마구 쏟아져 나온다. 책은 물론이거니와 극장가에도 절반이 공포물이 차지할 정도이며 심야시간 TV에서도 저마다 공포물을 방영하기 일쑤이다.
흐름에 맞추어 나는 몇권의 추리소설을 마련하였다. 그 첫번째 주자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용의자X의 헌신>이다. 역시 편독이 심한 나에게 그와의 만남은 첫만남이다. 첫만남에서 그 강렬함으로 인해 사랑에 빠져버렸다.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수있겠는가 이 매력이 넘쳐나는 소설을 말이다. 

X의 일상은 테엽감은 뻐꾸기 시계와 같다. 같은 시간에 집을 나와서 다리를 건너서 노숙자가 즐비한 도로를 지나고 개를 산책하는 노부인을 만나고 항상 똑같이 벤덴데이라는 작은 도시락집에 들러서 도시락을 사서 들고 출근하는 일이다. 그날도 똑같은 날이었다. 단지 며칠전 부터 새로운 노숙자 소굴에 들어온 한 인물이 눈에 띄일 뿐이다. 
야스코는 X가 자주가는 도시락집의 종업원이다. 그녀는 전직 호스티스였으며 지금은 중학생인 딸 미사토와 단둘이서 살고있다. 그날도 그녀는 똑같은 시간에 녹색자전거를 타고 같은 시간에 출근해서 같은 일을 하면서 손님들을 맞는 편안한 날들을 보내는 듯 했다. 그날부터는 그녀에게 평온한 날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미가시라는 전남편에 의해 무참히 깨어져버리고 만다. 이혼을 했으면서도 돈을 요구하며 찾아오는 그에게 진절머리가 난 그녀는 그에게서 탈출하고만 싶다. 더욱이 딸 미사토까지 괴롭히는 그이기에 그 일은 계획이 아니라 우발적으로 일어나버렸다. 살인의 살자도 모르던 모녀에게 충격이 아닐수 없다. 패닉상태에 빠진 모녀에가 X가 도움의 손길을 내민다....

왜 X는 모녀들을 도우려 할까 이건 단순한 사고도 아니고 살인사건인데 말이다.
단지 짝사랑하는 상대이기 때문에? 아님 이웃이기 때문에? 이웃이라면 더욱 설득해서 자수하게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어차피 그 사람은 짐승만도 못한 인간 아닌가.....살인이라는 저질러서는 안되는 일을 저질렀지만 어느정도 정상 참작이 되지 않을까...그렇다면 X가 관여하므로 살인이 철저하게 음폐될수 있을까.....
처음부터 범인이 누구이며 경찰들의 수사망에 야스코와 미사토는 용의선상에 놓이게 만든다.
그렇다면 어떻게 알리바이가 존재하지 왜?어째서?어떻게? 라는 물음표는 계속 달면서 말이다.

시종일관 수학공식과 같은 명제를 제시하는 X, 그리고 언제나 변수는 존재하듯이 X와 견줄만한 친구 유가와 그리고 오답 안에서 정답을 찾을려는 경찰들
P ≠NP 혼자 생각해서 답은 제시하는것과 남이 제시한 답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는것. X 풀기어려운 문제를 제시했고 경찰과 유가와는 답을 풀어내야 하는 어려움.

얘기치 못한 결과 그리고 또 다른 해답을 제시하는 X. 이 일련의 과정이 숨 막히게 전개된다


수학은 결국 답이 명확하게 존재한다. 공식을 해명하는 과정이 어려울 뿐이지 분명 답은 찾을수 있다. 그러나 사람은 수학공식과 같이 명확한 답안을 제시할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X는 감정이라는 마음의 해답이 없다는 것을 간과하고 말았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고무공과 같은  감성을 중시하는 여성의 마음의 해답을 놓치고 만것이다. 아직 X의 답을 인정하기에 너무 어린 미사토에게는 너무나 무거운 답이었던 것이다.  
 

<용의자X의 헌신> 은 한마디로 나에게 풀기어려운 수학문제와 같았다. 좀체로 결론을 예측할수 없는 짜임새와 트릭 그리고 밝혀지는 해답 정말 놀랄수밖에 없었다.

아니 나는 슬펐다. 마지막장을 덮으면서 어느새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어떻게 이럴수가 있어! 하면서 안쓰러웠고 화가났다. 진짜 바보아닌가 하는 말을 되내이면서 말이다.
한 인간에게 저렇게 까지 헌신할수 있을까? 지금도 X의 절규가 눈으로 본듯 선하게 비춰진다.
과연 이책을 추리소설이라고 할수있을까? 아니다 맞다 추리소설 맞다. 슬프고 슬픈 추리소설이다.
그렇다면 제목을 바꾸어보고 싶다. <용의자 X의 사랑의 헌신> 이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