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 1%가 되는 투자의 기술 - 미친 재테크를 버리고 명품 투자로 이끄는 절대법칙
이건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나름 재테크를 한다고 하지만 그 수준은 너무나 미약하다.
어쩌면 재테크에 일가견이 있는 사람들이 보면 답답할 지경일 것이다.
펀드 열풍속에서 나는 꿋꿋이 옛날 방식을 고수하니 말이다.
특판금리라고 해서 은행에서 5% 가량의 상품에 만족하는 나의 소심함을 어쩌겠는가....
핑계를 대자면 난 믿을 수가 없었다.
같은 은행의 다른지점에서 펀드 문의를 하다보면 고객의 입장이 아니라 자신들의 실적 입장으로 다른 상품들을 권해주는 것을 보면서 과연 영업실적에만 급급한 사람들을 내가 믿고 투자를 할수 있을까?
이익이 나면 좋지만 손해를 보게 된다면 대박꿈을 꾼 나에게 고스란히 피해가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직원들의 탓이 아니지만 왠지 꺼림직한것 사실이다.
높은 수익률만 내세우면서 정작 가입할려고 설명을 듣다보면 어렵기만 한 상품명이나 터무니 없는 수수료와 처음과는 다른 내용등 불안함에 포기한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재테크나 펀드에 관한 책들을 읽어도 죄다 모르는 어려운 말만 늘어놓고 아님 나의 지식과 이해력이 부족하기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차라리 이러느니 은행 예금에나 만족해야지 하면서 결국 옛날방식에 눈을 돌린적이 적잖이 경험하였다.
그래서 그런지 투자나 재테크 관련 책들 하면 어렵게만 서술해 놓았을게 뻔한 결과는 매한가지인 책일거라는선입견을 갖게 되어버렸다. 아예 읽지 않으면 맘편하겠지만 요즘같은 불안정한 사회에서 어느정도의 금융지식은 알고 있어야 하기에 포기를 못하고 되풀이만 할뿐이었다.
처음 <투자의 기술>을 접할때도 또 뻔한 얘기이겠지 하고 펼쳐 보았다.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라고 하면 가장 적절한 표현이라고 할수있을 것이다.
투자에는 완전 초보인 나에게 투자는 어려운것이 아니라 기본원리만 깨우치고 우직하게 밀고 나가라고 말한다.
약삭빠른 머리와 발빠른 다리가 아닌 묵직한 엉덩이로 번다는 것을 알려 주었다.
그러나 정작 현실에서는 초보인 사람에게는 은행이나 펀드매니저 투자 상담가 그들도 판매를 해야 살아남는 사람이라는 것은 알지만 어쩔수 없이 기댈수 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책에서는 그들은 믿지 말고 기대지 말라고 한다.
금융시장을 어둠의 세력으로 표현하였고 펀드매니저들은 금융 연예인으로 표현하다니
금융계에서 욕을 얻어먹을 일이다.
투자의 기술에서는 수수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준다.
지금껏 내가 읽은 어떤 책에서도 수수료에 대해 언급했던 책은 없었다.
그래서 운용보수며 판매보수며 하는 금융 수수료등은 수익이 발생한 금액에서 지금껏 나가는 것인줄 알고 있었던 나는 내가 얼마나 바보였는지 얼굴이 빨개질 정도였다. 이렇게 모를수가 있었을까 말이다.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았던 수수료가 현재도 마찬가지이지만 향후 수익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이제라도 알게된것이 다행이란 생각을 해본다.
<투자의 기술>은 말한다.
1. 투자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다면 절대 투자하지 마라. 꼭 투자하고 싶다면 완벽하게 이해하고 철저하게 관리하라.
2. 복잡성은 불투명을 낳고 불투명은 투자자의 손실로 이어지는 법이다. 복잡한 상품을 피하고 단순하고 투명한 상품을 선택하라.
3. 부자가 되는 첫걸음은 행운을 잡는 것이 아니라 정당한 내몫을 남에게 빼앗기지 않는 것이다.
이 세가지 뿐만아니라 투자의 기술은 투자의 위험성과 투자의 주의사항을 세심하게 알려준다.
어렵고 복잡하게만 생각되었던 투자가 나와는 거리가 먼이야기로만 치부해왔는데 허황된 꿈이 아닌 나의 노후와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 라는 것을 다시금 알게된는 계기였다.
돈은 약삭빠른 머리로 버는 것이 아니라, 묵직하게 엉덩이로 버는 것이다 는 명심하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