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연한 인생
은희경 지음 / 창비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마솥더위다. 그래서 올빼미처럼 밤에만 움직이고 낮에는 그늘 속에  숨는다. 더위를 피해 하릴없는 사람처럼 책으로 시간을 죽인다. 이 순간도  시간은 가까스로 넘어가는 책장처럼 더디게 가지만, 그러다 보면 여름도 가을 앞에 무릎을 꿇겠지. 은희경 소설< 태연함 인생>은 사흘에 걸쳐 읽었다. 이 책이 내게는 그녀 작품 중 다섯 번째? 아니 여섯 번째 책인가 그렇다.

 

아직 그녀 책을 다 읽어 보진 못했지만 지금까지 읽은 책에 대해 말하면 촌스럽게도 '좋다' 다. 그 이유는 문장이 섬세하지만 중언부언하지 않고 깔끔하다. 특히 소설 속 인물 묘사가 그렇다. 읽는 이로 하여금 정확히 이해시킨다. 이 책에서는 인간에 대한 삶, 사랑, 고독을 표현하는데 그 안으로 빠져들게 하면서도 결국엔 밖으로 나와 내면을 보게 만든다.

 

사랑하면 뼛속까지 더 외롭고 고통이라는 말의 무게를 어느 정도 느끼게 해 주는 소설이다. 이 소설은 그렇잖아도 책 읽는 속도가 느린데 밑줄 긋듯 포스트잇을 붙여 가며 읽었다. 지금 읽고 있는 <중국식 룰렛>을 다 보게 되면 '좋다'라는 말 앞에 '참'이라는 명사를 붙여 주지 않을까.

 

"그녀는 공중전화 부스의 유리에 기댄 채 통화를 하고 있었다. 가냘픈 몸매에 물방울무늬가 들어간 연녹색 원피스와 흰 스웨터 차림이었다. 한 손으로 전화기를 귀에 대고 고개를 비스듬히 기울인 그녀의 얼굴은 희고 투명했다. 옆구리에는 책과 노트를 끼고 있었다. 속눈썹이 긴 그녀의 눈은 꿈꾸듯 먼 허공을 보았고 입술은 장미 꽃잎처럼 윤기가 흘렀다. 상아로 깎은 듯한 턱이 살짝 위로 들려서 목선을 한층 우아하게 만들어 주었다. 두 뺨은 복숭앗빛으로 물들어 있었는데 말을 할 때마다 그 위로 검은 단발머리가 조금씩 출렁거렸다. 그녀는 상대방의 말을 들을 때 그녀는 밤색 구두의 앞부리를 들고 굽으로 톡톡 쳤다." (8~9쪽)

 

"그 침전물이 고통이 아니라 고독이었다는 걸 류는 그때는 알지 못했다. 가난한 유학생이 외국인의 입주 가정부가 되어서 창 밖을 바라보며 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던 어떤 여름 오후. 스러지는 햇빛 아래 나무의 긴 그림자가 마치 자신의 인생의 퇴락처럼 힘겹게 빛과 모양을 유지하려 애쓰며 바래가던 날, 어머니는 자기 앞에 다가와 있는 상실의 세계를 보아버렸다. 이제부터는 쓸쓸할 줄 뻔히 알고 살아야 한다. 거짓인 줄 알면서도 틀을 지켜야 하고 더 이상 동의하지 않게 된 이데올로기에 묵묵히 따라야 하는 것이다. 어머니는 그 세계를 물끄러미 응시했다. 세계를 믿지 않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달리 무엇을 믿는단 말인가. 상실은 고통의 형태로 찾아와서 고독의 방식으로 자리잡는 것이었다." (72쪽)

"모든 매혹은 고독의 그림자를 감추고 ​있다.(73쪽)

"고통은 관계의 고독이고 고독은 개인됨의 고통이다."(77쪽)​

"결정 내리기가 쉽지 않을 때는 최상의 결과를 얻는 건 포기해야 한다. 무난한 걸 택하는 게 그나마 최악으로 가지 않는 방법이다."(81쪽)

"데이트하는 남녀는 서로를 바라보고만 있지는 않았다. 각기 사진을 찍고 음악을 듣고 스마트폰의 앱을 뒤적였다. 따로 노는 것 같지만 애인을 다른 사람과 만나지 못하게 하는, 연애에서 가장 중요한 일을 수행하는 중이었다. 혼자 있는 것 또한 자연스러웠다. 공부를 하든 인터넷 쇼핑몰을 뒤지든 집에 틀어박혀 있을 때와 달라서 분명 혼자는 아니었다. 그들 모두는 같은 장소에 함께 있었지만 독립적이었다. 심심할 수 있지만 고독해 보이진 않았다. 어쩌면 각자 눈에 보이지 않는 부스 안에 들어가서 비용을 지불하고 그 대가로 고독에 대한 통각을 차단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90쪽)

"지식인으로서는 정의로운 사람도 정서적으로는 편견투성이였으며 평등을 주장하지만 아는 사람들과 평등해지기 싫어했다. 많은 기자들은 제 주변에서 일어나는 몇 가지 사례만으로 자신의 편견을 일반화할 뿐이지만 전문가들은 더 나아가 거기에서 규칙을 발견해내서 자신의 신념체계로 대중을 속이기를 좋아했다." (143쪽)

 

 

"사랑이 식은 것은 반복되는 관계속에서 상대가 고유성을 잃고 다른 누구와 다를 것 없는 덤덤한 존재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161쪽)

​"타인이란 영원히 오해하게 돼 있는 존재이지만 서로의 오해를 존중하는 순간 연민 안에서 연대할 수 있었다. 고독끼리의 친근과 오해의 연대 속에 류의 삶은 흘러갔다. 류는 어둠 속에서도 노래할 수 있었다."
(265)쪽

사랑이 식은 것은 반복되는 관계속에서 상대가 고유성을 잃고 다른 누구와 다를 것 없는 덤덤한 존재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