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노자 : 道에 딴지걸기 지식인마을 6
강신주 지음 / 김영사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장사상하면 노자와 장자를 함께 일컫는 말이다. 혼란스러운 춘주 천국 시대에 사상가였던 두 사람은 동양문화 속에 면면이 이어져 오는 도가 철학자들이다. <노자>는 시라는 간결한 형식을 통해 형이상학적인 내용을 전달하려 했다면 <장자>는 짧은 이야기에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재미있는 우화로 구성되어 있다. 우화에는 '대붕이라는 새 이야기', '장자의 나비 꿈 이야기', '조삼모사 이야기','포정해우 이야기'등 보통 사람들도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다.

 

서양에 동물의 성격이나 행동을 포착해 인간의 모순을 통쾌하게 보여주는 이솝우화가 있다면 동양엔 짧은 우화를 통해 철학적 통찰을 보여주는 장자가 있다. 그중 <포정해우 이야기>를 옮겨 봤다.

 

"포정이라는 훌륭한 요리사가 문혜군을 위하여 소를 잡았다. 손을 갖다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을 디디고, 무릎을 굽히는데, 그 소리는 설겅설겅, 칼 쓰는대로 썩둑썩둑, 완벽히 음률에 맞았다. 무곡<뽕나무숲>의 맞춰 춤추는 것 같고, 악장<다스리는 우두머리>에 맞춰 율동하는 것 같았다. 문혜군 말하였다.

 

"참 훌륭하다. 기술이 어찌 이런 경지에 이를 수 있을까?"포정은 칼을 내려놓고 대답하였다. "제가 귀하게 여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기술을 넘어서는 것입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이 다였습니다. 지금은 신神으로만 만날 뿐 눈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감각기관은 쉬고, 신神이 원하는 대로 움직입니다.

 

하늘이 낸 결을 따라 큰 틈바구니에 칼을 밀어 넣고, 큰 구멍에 칼을 댑니다. 이렇게 진실로 그러한 바에 따를 분, 아직 인대나 힘줄을 베어본 일이 없습니다. 큰 뼈야 말할 나위도 없지 않겠습니까? 훌륭한 요리사는 해마다 칼을 바꿉니다. 뼈를 자르기 때문입니다. 저는 지금까지 1년 동안이 이 칼로 소를 수천 마리나 잡았습니다.

 

그러나 이 칼날은 이제 막 숫돌에 갈려 나온 것 같습니다. 소의 뼈마디에는 틈이 있는 뼈마디로 들어가니 텅 빈 것처럼 칼이 마음대로 놀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19년이 지났는데도 칼날이 이제 막 숫돌에서 갈려 나온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매번 근육과 뼈가 닿는 곳에 이를 때마다 저는 다루기 어려움을 알고 두려워 조심합니다.

 

시선은 하는 일에만 멈추고, 움직임은 느려집니다. 칼을 극히 미묘하게 놀리면 뼈와 살이 툭하고 갈라지는데 그 소리가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들고 일어서서 사방을 둘러보고, 잠시 머뭇거리다가 흐뭇한 마음으로 칼을 닦아 갈무리를 합니다."

문혜군이 "훌륭하다 나는 오늘 포정의 말을 듣고 '삶을 기르는 것(養生)'이 무엇인지 터득하였노라."(70~71쪽)

포정이 문혜군에게 소 잡는 방법을 들려준 이야기다. 포정이 말한 '눈으로 본다는 것'과 '신으로 만난다는 차이'에 대해 장자는 기술보다는 우월할 수밖에 없는 도道를 이야기한다. '도道'​ 현실을 떠나 무위자연에서 사는 것, 즉 현실을 떠난 道가 아니라 세상을 구하는 道를 추구했다는 도가 철학에 대해 <장자 철학에서의 소통의 논리>로 박사학위를 받은 강신주 철학자가 도에 딴죽 걸어 재미있고 쉽게 풀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