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일러 있음.​

 

영화 '부산행'을 봤다. 갑자기 보게 된 영화라서 사전정보없이 그냥 봤다.

놀랐다. 고속철도 KTX에서 좀비영화라니,

그러고 보니 좀비영화는 티비에서 한 두어 번  봄직하다.

한국영화에서 좀비는 상상도 못했다.

그러나 기억속 좀비와는 완전히 다른 한국 좀비들이었다.

오래전 영화에서 좀비는 뭐랄까.

무표정에 느린 움직임, 허수아비같은 나약함에 비해

부산행 좀비는 혼이 움직이는 디테일한 동작에 속도감과 공포감까지 ,... ​

 

부산행 KTX 열차 안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올라 타면서

열차 안 승객들이 하나 둘, 정체모를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전국에 재난발령경보가 내려진 이유는 바로 공포의 좀비 바이러스때문이다.

 

열차 안은 삽시간에 좀비 바이러스가 칸칸으로 번지고

아비규환 속에서 사람들의 본능은 민낯을 드러낸다.

아내에게 아이(수안분)를 데려다주기 위해 함께 탄 아빠(석우분)는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딸에게 다그쳐 세우며

"지금 이런 순간엔 너만 생각하는 거야."한다.

그 말이 이기적이기보다 딸을 지켜야 하는 아빠로서 충분히 그럴 수 있다에 공감이 간다.

9호칸에서 좀비들을 뚫고 구하러 온 공유에게 문을 열어주지 않으려고 하는 13호 칸 김의성(용석분)

"여기 있는 사람은 살아야 해."

거기서 그치지 않고 달려드는 석우에게 "이 새끼 감염됐어" 라는 대사가 소름 끼쳤는데

더 무서운 건 그말에 동요 돼 이들을 쫓아내는 13호칸 사람들이었다.

 

문제는 늘 그렇다. 현실에서든 영화든 문제가 발생하면 인간은 문제때문에 무너지는 게 아니라

그것을 해결하려 들지 않고 각자 사람들 안에서 일어나는 분란으로 인해 공멸하는 것 같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이 영화는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