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에 묻다,행복은 어디에>(2014.판미동)는 인문학자 17인이 자신의 삶을 통해 들려주는 다양한 이야기다. 건축가 김개천이 보는 삶의 철학이 인상깊어 밑줄 그었다.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하루 저녁에도 집을 몇 채 지었다 허물었네' 라고 한다. 보통 사람은 공상이지만 건축가의 입을 빌리면 명상이 된다.
건축가 김개천은 명상을 집을 허물거나 더 단단하게 짓는다고 말한다. 집에 주춧돌을 놓고, 대들보를 세우고, 지붕을 얹는 명상이다. 저자는 한옥의 구조를 예로 설명하며 거기서 사람을 읽어낸다.
"방이 작기도 하고 크기도 하잖아요. 믿을 게 없는 집이에요. 마루의 유리문마저 아예 방이 사라지기도 해요. 정해진 것 없이 계속 변화하죠. 여름에는 큰 방을 만들고 겨울에는 따뜻하도록 방을 자게 만들 수도 있고요. 게다가 해가 뜰 때는 방이 동향을 보게 하고, 해가 질 때는 석양을 보며 식사를 할 수도 있어요. 평수도 작은데 크기는 무한대인 집이죠."
평수는 작은데 크기는 무한대라. 눈길을 끈다. 그게 왜 가능할까. 그 집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본다. 그건 자기 것을 가지고 있는 않은 집이기때문이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자기 것이 많으면 지키려 하고, 지키려다보면 바깥을 향해 닫히기 일쑤다. '내 것에 대한 집착이 적은 사람은 다르다. 그게 적으면 적을수록 바깥을 향해 열리게 된다. 그래서 내 안에 있는 것만이 내 것이 아니라 내 밖에 있는것도 내 것이 된다.평수는 작아도 정말 '큰 집'이 되는 거다."지혜로운 사람이란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포용력이 큰 사람이에요. 건축도 그렇다고 생각해요 ."(68쪽)
삶과 건축을 서로 빗대어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과 그 말에 공감하는 저자 또한 공부를 다른 입장에서 바라볼 줄 안다. 식물의 입장에서 보는 건 식물학이고 동물의 입장에서 보는 건 동물학이다. 공부는 다른 입장에서 나를 보는 연습이라고 하는 말에 수긍이 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