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로니아 찬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6
조지 오웰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의 가장 끔찍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모든 전쟁 선전물, 모든 악다구니와 거짓말과 증오가 언제나 싸우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나온다는 점이다. 내가 전선에서 알게 된 통일사회당 의용군 병사들이나, 이따금씩 만나는 국제 여단의 공산주의자들은 나를 결코 트로츠키주의자나 배반자라고 부르지 않았다. 그런 일은 후방의 기자들이 담당했다. 우리에게 반대하는 팸플릿을 쓰고 신문에서 우리를 헐뜯는 사람들은 모두 안전한 집에, 혹은 기껏해야 발렌시아의 신문사 사무실에 있었다. 총알과 진창으로부터 수백킬로미터는 떨어진 곳이었다.

 

스페인 내전의 한 복판에서 목에 총알이 관통했을 때, 오웰이 기적적으로 살아남지 못했더라면, 이 르포르타주가 세상에 태어나지 못했겠구나 싶어 오싹해진다.

모든 것이 생생하다. 마치 그곳에 있는 것처럼...

 

조지 오웰의 '나는 왜 쓰는가'를 읽다말고 '카탈로니아 찬가'를 먼저 손에 들었다.

"어떤 책도 진정한 의미에서 정치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예술은 정치와 무관해야 한다는 견해 자체도 하나의 정치적 태도이다."라던 조지오웰의 정치적 환멸의 계기가 된 스페인 내전의 실상이 궁금했던 탓이다.

 

억울하게 트로츠키주의의 낙인이 찍혀버린 통일노동자당의 입장을 변론하겠다는 오웰의 개인적 의도에서 서술되었건 어쨌건, 이것이 객관적으로 현상을 보려 애쓰며 스페인내전의 한복판에서 기록된 생생한 르포르타주란 사실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때문에 최소한 전장에서 멀리 떨어진 사무실에서 정적을 제거하기 위해 음해에 활용되던 신문이나 언론보다는 그가 더 진짜 저널리스트에 가까워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