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속의 거미 블랙 캣(Black Cat) 4
아사구레 미쓰후미 지음 / 영림카디널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참 특이하고 별난 소설이다.

이 책은 표면적으로 ‘일본 추리소설’이다.

그러나 요즘 사람들이 많이 읽는 일본 추리소설을 생각하고 책장을 펼쳤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물론 이 책에도 사건이 나온다.

그러나 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용은 사건을 풀어가는 이야기가 아니라,

주인공이 “듣는” 환경, “듣는” 사물을 어떻게 “그리고” 있는가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사물과 특히 소리의 미묘한 차이를 시각적으로 그려내는 묘사가 아주 절묘하다.




다치바나는 이사 첫 날 뺑소니 자동차 사고를 당하고 그 이후 청력이 비정상적으로 예민해진다.

자신을 친 자동차를 찾던 중 다치바나는 자기가 이사오기 직전에 살던 여자가 행방불명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단지 그 여자가 이곳저곳 남겨놓은 소리의 반향을 따라서..

다치바나는 여자에 대하여 아무 것도 모른다.

이름도, 나이도, 생김새도, 목소리도... 어떤 정보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다치바나가 처음으로 여자에 대한 정보를 얻은 것은 그 방에 남겨진 여자의 ‘소리’였다.




다치바나가 웅크린 자세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였다. 발밑에서 마룻바닥이 울렸다.

삐꺽하는 조금 깊은 반향.

벽을 주먹으로 두드릴 때는 조금 얕은 소리로 바닥이 울렸었는데,

이번 소리는 바닥의 다른 부분보다 더 깊게 가라앉는 듯한 느낌이었다.

소리는 그곳에서만 두텁게 마룻바닥에서 연기처럼 피어오른다.

목재가 일그러지는 것같이 희미한 소리의 연기가 먼지처럼 공간에서 춤을 추었다.

                                         (중략)

다치바나의 발바닥이 바닥을 밟으면, 일정한 버릇을 지닌 부분만 먼지처럼 소리의 연기가 피어오르고,

그 소리와 함께 천천히 움푹 패는 듯이 일그러져 보이는 것이었다.

                                         (중략)

누군가 밟은 흔적이다.

계속해서 바닥의 똑같은 자리를 밟은 것이 버릇처럼 되어 이런 소리를 내게 된 것이다.

이 방안을 걸어다닌 사람이 습관적으로 밟은 장소와 그렇지 않은 장소의 차이가 바닥의 반향에 버릇을 남겨 놓은 것이다.

즉, 이것은 전에 있었던 사람이 걸었던 흔적이다.




인간이 얻는 정보의 대부분은 시각에 의존한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시각이 주는 정보의 불완전함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재미있는 놀잇거리가 되었다.

착시를 이용해 똑같은 길이의 선을 다른 길이로 보이게 한다던가, 곧은 직선을 굽은 곡선처럼 보이게 한다던가,

이렇게도 저렇게도 보일 수 있는 그림(토끼-오리 그림)이 등장한다던가...

숨은그림찾기 역시 주위와 유사하게 사물을 배치함으로써 눈을 속이는 놀이가 아닌가.

 

그러나 [돌속의 거미]는 정보의 원천으로서 가지는 시각을 거의 배제하고,

‘청각’이라는 다른 감각으로 시각을 대체하고, 청각을 통해 얻는 정보의 미세한 차이를 구별해 내는 과정을 풀어낸다.

[돌속의 거미]의 주인공인 다치바나의 청각은 너무나 예민해져서 세상의 모든 소리가 귀에 쏟아져 들어오기 때문에 약이 없이는 견딜 수 없을 정도이다.

뿐만 더 나아가 이제 귀로 들어오는 소리는 시각적인 형태로 변화한다.

소리가 기하학적인 모양을 갖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전철에서 들리는 차임벨 소리는 원뿔과 삼각뿔, 구체가 이루는 화음으로 보이고,

새가 우는 소리는 ‘가느다란 천을 개울에 흘려보내는 것 같은 새빨갛게 늘어나는 소리가 매끄러운 디가 되어서 바람같이 흐르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제 시각은 흐릿한 윤곽만 겨우 보여줄 뿐이며, 오히려 다치바나의 행동에 거추장스러운 감각이 되고,

다치바나가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은 근원은 귀로 듣는 청각으로 변한다.

저자인 아사구레 미쓰후미는 절대적인 시각에 대하여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는 있지만 그 중요성을 간과해 왔던 청각을 중심된 감각에 배치함으로써 세상을 인식하는 새로운 면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책이 지속적으로 말하고 있는 ‘고독’, ‘갇힘’, ‘출구없음’과 같은 이미지들은 현대 사회와 그 속의 사람들에 대한 슬픈 형상화이기도 하다.

제목인 [돌속의 거미]는 일본 아이치현의 특산물인 ‘다카시 동자승’이란 돌멩이를 말한다.

이 돌은 암석 내부에 공간이 생겨서, 흔들면 속에 들은 이물질로 인해 소리가 발생한다.

이 소리를 다치바나는 돌속에 갇힌 거미가 발로 돌 내부를 긁어대는 소리로 듣는다.

결국 돌속에 갇힌 거미는 나갈 곳을 찾으나, 나갈 수 없다.

계속 돌 내부를 긁어대며 죽을 때까지 돌아다닐 뿐이다.

어쩌면 이런 거미의 모습은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을 나타내주고자 한 것이 아니었을까?

또한 책의 앞부분에는 다치바나가 꾸는 꿈이 자세하게 묘사된다.

‘단지속에 꼼짝없이 들어 있는’ 상태로 자주 묘사되는 ‘갇혀 있는 이미지’는 사방으로 막힌 현실과 그 속에서의 탈출을 기원하는 마음을 읽을 수 있도록 해 준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그냥 술술 읽어내려가는 책을 원하는 분이라면 이 책을 좀 지루하게 여길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세밀한 소리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과 같은 문장력은 정말 대단하다.

어딘지 특이하면서도 기묘한 점에 중점을 두는 분이라면 좋아할 듯 싶다.

 

뱀꼬리....

책표지에 나온 '판타지와 하드보일드가 결합된....' 이 말은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