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의 심리학 / 꿈꾸는 20대, 史記에 길을 묻다>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꿈꾸는 20대, 사기史記에 길을 묻다
사마천 지음, 이수광 엮음, 이도헌 그림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사기에 대해 아는 것이라고는 저자가 사마천이고 사기를 쓰기 위해 궁형과 사형 중 궁형을 택했다는 것 정도였다. [한나라 이야기]를 보고 사기가 어떤 책인지 조금 더 알게 되었고 [꿈구는 20대, 사기에 길을 묻다]에서 조금 더 알게 되었다. 이번 책으로는 특히 열전-인물에 대한부분에 대해 더 알게 되었다.
사기라하기에 어려운 한자어가 남발된 책이 아닐까 싶었는데 오히려 기대보다 쉬웠다. 그게 조금 아쉬웠다. 뭐랄까... 표현하자면 청소년용의 간단한 위인전을 보는 느낌이었다. 아니면, 수능볼 때 도움이 되도록 한국 소설의 중요부분만을 요약해놓은 소설집을 읽는 느낌? 조금 아쉬울 뿐 나쁘지는 않았다. 사기열전 자체가 그렇게 간단한지도 모르겠지만.
번번히 쓰게 되지만 나는 제목과 내용의 어울림에 많은 신경을 쓰는 편이다. 내용은 괜찮은데 제목과 어울리지 않으면 인터넷 용어로 '낚였다'라는 말이 저절로 떠오른달까?
이 책은 바로 그런 느낌을 주는 제목을 가지고 있었다.
사기 열전에 수록된 인물들의 탄생, 두각을 나타내기 전에서부터 목표를 이루고, 그리고 쇠퇴하여 죽기까지 충실히, 쉽게 쓴 것은 사기에 접근을 쉽게 해 주었다. 그러나 책 제목이나 소제목과는 어울리지 않는 부분이 종종 발견되었다.
안 어울리는 부분은 특히 인물의 인생 말미였다.
오자서의 경우, 신념을 지켜 부형의 원수를 갚은 것까지는 좋았으나, 그 후 모함에 휘말려 자살하고, 여불위의 경우, 시황제의 부친(사기 열전에서는 이렇게 나왔다고 한다)이 되어 스승으로까지 대접을 받았으나, 시황제에게 위협이 되는 바람에 한직으로 쫓겨나 독주를 먹고 자살하는 등등의 결말들이 속속 나타나는 것이 '꿈꾸는'이나 '길'과는 딱히 어울리지 않았다. 그나마 괜찮은 부분은 부자들이 나온 부분이었다. 결말이 '자손대대로 부유하게 잘 살았다'였으니 말이다.
제목과 연결되니 주는 느낌은 '그렇게 열정, 신념, 지혜의 길을 걸어봤자 시기나 타인의 두려움에 죽임당하는 건가?'이었다. 내가 좀 삐뚤어졌는지는 모르겠지만. 사기의 시대에서는 아무리 뛰어나도 왕의 기분 하나로 성공도 삶도 좌지우지 되었기에 어쩔 수 없지만, 현대에는 그런 사기 속 인물들의 생각이나 행동이 성공이나 행복한 노후에 분명 도움이 될 것이 분명했다. 그러나 제목과 달리 책 속에는 현재의 상황과 연결되는 부분이 없었다. 사기의 내용에 충실한 나머지 현재의 상황과 연결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렇다면 제목을 달리 정하는 것이 좋았을 듯 싶다.
제목과의 연관성만 아니라면, 책의 내용은 좋은 편이었다. 이 책 전에 워낙 골치아픈 책을 봤던 터라 책이 술술 읽히는 것도 좋았고(서평은 좀 많이 늦었지만 -_-;) 새로운 사자성어를 알게 된 것도 좋았다. 제목 외의 또다른 아쉬움이라면 인물의 활약 시대를 그래프로 나타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살짝 들기도 했다. 춘추전국시대, 진나라, 한나라 시대의 인물들이 뒤죽박죽되어 동시대의 인물이 각기 다른 소제목에 나왔는데 동시대인지 다른 시대인지 조금 헷갈리기도 했기 때문이었다.
* 트랙백을 걸어서 아시겠지만 알라딘 신간평가단에서 제공받은 책에 대한 서평입니다.